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간의 두뇌는 디자이너 개인의 성향을 아이디어스케치 등의 가시적인 객체로 표현함은 물론이고 동시에 그들의 심리, 성격 등을 비가시적으로 표현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두뇌에서 비가시적으로표현되는 인간의 성격과 가시적으로 표현되는 그들의디자인 결과물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성격심리학에서 주로 다루는 인간의 6대성격 모델(HEXACO)을 통해 디자이너의 성격 및 성향을 4가지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동 대상자들에게 동일한 상황 조건을 제시하여 아이디어 스케치실험을 진행, 도출된 디자인 결과물을 창의 심리학자Torrance의 창의적인 과정 4요소를 평가항목으로, 전문가집단인터뷰(F.G.I)를 통해 그 수준을 평가하였으며 그룹별 스케치 성향에 대해 해석하였다. 그 후 도출된 대상자의 성격 6요소 점수와 창의 4요소 점수에 대한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개방성은 유창성에 강한 긍정, 유연성에 약한 긍정, 정교성에 강한부정으로 해석 가능하며, 성실성은 유창성에 강한 부정, 정교성에 강한 긍정으로, 외향성은 유연성에 약한긍정, 정교성에 강한 부정을 보이며, 원만성은 유창성에 약한 부정, 유연성 및 독창성에 강한 부정 및 정교성에 약한 긍정으로, 정서성은 유연성 및 독창성에 강항 긍정을, 정교성에 강한 부정을 나타내며, 정직성은유창성에 강한 긍정, 유연성 및 독창성에 강한 부정, 정교성에 약한 부정을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성격심리학에서 사용되는 6가지 키워드와 창의 심리학에서 사용되는 4가지 키워드가 디자인사고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향후 두뇌과학과 심리학을디자인학 중심에서 융합한 한가지의 연구 분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기초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The human brain not only expresses the tendencies of designers as visible objects such as idea sketches, but also expresses the mentality, personality, etc. in a non-procedural way. Therefore, this study was intended to correlate the human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abstract terms with their design results in a conceptual form. The study classified the designer’s personality and propensity into four groups through the six personality models(HEXACO) addressed primarily by personality psychology. In addition, the same conditions were presented for the same subjects to carry out an idea sketch experiment. A Focus Group Interview(F.G.I) have adopted the derived design results as scoring entries for the four creative elements of creative psychologist, Torrance, and have interpreted the propensity for group sketches. Then,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nalyze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ity 6 element scores and the creative 4 element scores. Through this, openness is considered to be strong positive for fluency and flexibility, but can be interpreted as a strong negative for elaboration, and conscientiousness was shown to be a strong negative for fluency but also a strong positive for elaboration. Extraversion showed a weak positive for flexibility, but was strongly negative about elaboration. Agreeable was shown as the weak negative for fluency and a strong negative for flexibility and originality, but elaboration was shown as a weak positive. Emotional expressed a strong positive for flexibility and originality, buy a strong negative for elaboration. Honesty showed a strong positive for fluency, buy also showed a strong negative for flexibility and originality, a weak negative for elaborat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ix keywords used in personality psychology and four keywords used in creative psychology can be used as variable material in design thinking research. It has become the basis of basic research that can be established as a field of research that combines brain science and psychology with the focus of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