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박물관 문화상품은 ‘문화의 상품화’를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메타상품으로서 복합적인 소비 가치 제고를 위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박물관 문화상품은 공공과 민간 시장이 분리됨으로써 메타상품으로서의 문화의 상품화 현상이 제대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상품의 문화화를 위한 경과 과정에서 문화의 상품화를 위한 다양한 분야 중 하나인 박물관 문화상품의 개발 및 유통 경로 개선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상품학적 관점에서 문화상품의 개념과 관계적 구조를 이해하고, 개선점을 찾기 위해 문헌 연구 방법과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했다. 해외 선진 박물관들은 최소한의 수요 확보가 가능하기 때문에 소장품에 기초한 문화상품의 프로모션 확대의 단계를 넘어 개별 박물관의 명성 효과에 기초한 브랜드화를 광범위하게 시도하고 있다. 반면 국내 박물관은 문화상품의 시장 규모가 협소하기 때문에 공급 측면에서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어렵고, 그 결과는 비용 구조의 개선을 어렵게 했다. 그러므로 그 프로세스에서 공공 부문의 개입으로 시장 실패를 보완함으로 써 ‘상품의 문화화’라는 또 다른 목표를 지향해왔다. 그러나 민간 영역과 협력을 통한 시장 활성화보다는 공공 영역의 내부화로 인한 경쟁력 부족으로 문화의 상업화를 이끌어왔다. 이와 같은 문제 인식 안에서 본 연구는 상품 개발에 투입되는 국가의 재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많은 상품을 문화적 요소를 내포한 메타상품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개발 및 유통 플랫폼 개선 방안을 제안했다.


Museum products play a role not only as priming water for "commodification of culture" but also as a meta product to enhance complex consumption value. However, museum products in South Korea do not spread properly as culture-commodifying meta products due to the separation of public and private mark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lternative ways to develop museum products and improve distribution channels, which are among various fields for the commodification of culture in the process of the culturalization of commodities. As a research method, a literature study and a case study were use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ultural products and the system from the point of view of merchandising and to find improvement. Advanced museums overseas are attempting to broaden their branding based on the reputation effects of individual museums beyond the stage of expanding the promotional products in basis of collections, since minimum demand can then be secured. However, domestic museums have difficulties with achieving economies of scale in terms of supply because of the narrow market size of cultural products, and this has made it difficult to improve the cost structure. Therefore, the process has been aiming at another goal, that of the "culturalization of commodities", by complementing market failures through public sector involvement. Nevertheless, this has l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culture due to the lack of competitiveness, becoming internalized in the public domain rather than by the activation of the market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In light of the problem, the study proposes a plan to improve a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platform that can efficiently utilize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country invested in product development and developing further meta products containing many cultural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