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경상남도가 진주의료원 폐업 방침을 공표했던 2013년 2월 26일부터 2017년 3월 홍준표 지사에 대한 주민소환운동의 활동보고서 발표시점까지를 ‘공공성’ 논쟁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사례로 재구성하여 이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주된 연구방법은 담론분석이고, 초점집단면접, 심층면접등의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이론적 틀로 Arendt의 ‘현상’과 ‘재현’이라는 개념을사용하였으며, 경상남도와 시민사회진영의 공공성 담론을 통해 드러나는 각각 다른 재현의 양상 및그 함의를 사회적 타자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행정권력과 보수적 시민사회단체는 포섭과 배제의논리에 기반하여 정치적 반대진영을 타자화하였고, 이때의 공공성이란 경제적 의미의 공적 이익으로논의되었다. 반면 진보적 시민사회진영에서는 빈곤 노인들의 고통을 부각시킴으로써 사회적 안전망과기본권의 문제를 공론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논의방식은 사회적 고통의 문제를 ‘낯선 타자’ 들의 것으로 재현하여 당사자들의 목소리를 공론장에서 배제하게 되는 의도치 않은 효과를 낳았으며, 공공의료를 여전히 잔여적 개념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The research is about the discourses about publicness from February 26, 2013, when Gyeongsangnamdo announced the closure policy of Jinju Medical Center, to the citizens’ summoning campaign against the governor Hong. The research method is discourse analysi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combined. The main focus is the aspect of social otherization revealed in the discourse and the theoretical frame is borrowed from Arendt’s concepts, ‘appearance’ and ‘representation’. First, the province and the conservative civil organization had stigmatized their politically opposite camps through inclusion/exclusion discourse. The public good which they advocated was economic benefits. On the other hand, the progressive civil society camp highlighted the suffering of the poor patients. However, this way of representation produced unintended consequences. The problem of social suffering was considered something of 'distant strangers' and the voices in the field even excluded from public sphere. And it is limited in that it treats public health as a residual con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