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학생들은 과거를 통해 미래 생활에 도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역사를 배운다고 하였다. 일반사회와 지리처럼 개인적 필요성이나 사회적 참여와 같은 유용성 측면에서 그 목적을 제시한 것과는 사뭇 다르게 추상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이 글에서는 역사교육의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내재적 가치를 강조하면서도 외재적 가치와 균형을 찾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최근 학생들의 역사 이해 과정을 알아보는 중에 많은 학생들이 민족과 국가 서사, 분배와 공정의 가치를 교훈을 얻기 위한 준거틀로 간주하고 있음을 알았다. 공정의 가치를 준거틀로 하여 현재와 미래의 문제를 바라보는 학생들은 이 공정함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을까? 조사에 따르면, 학생들은 나의 문제, 우리의 문제가 될 경우에 민주주의 가치와 충돌이 되더라도 현실적인 이익이 되는 부분이 우선시되고, 때로는 부당함에 침묵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공정함이 공적인 숙의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생각하는 정의로움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경험들은 역사교육을 통해 현재와 미래 문제 해결을 위한 교훈으로서 역사를 배우면서도, 사회참여와 같은 사회적 유용성으로서 공공선을 위한 역사교육의 방향 설정이 가능하다. 또 역사가 비실용적이어서 왜 배워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 학생들에게 공공선으로서의 민주시민교육은 개인적, 사회적 유용성을 역사교육의 목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이다. 역사교육의 목적이 학교 안의 지식과 학교 밖의 경험을 연결하여 그 지식의 의미와 중요성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탐구되어야 한다고 볼 때, 유용성의 비중이 높은 일반사회와 지리처럼, 역사도 학생의 일상생활에 밀접하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Students said to that the purpose of history learning is to get help for future life through the past. The purpose of General society learning is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the purpose of geography learning is to get to the personal need. the purpose of history learning is more abstract than other subjects. This study is to give a more concrete purpose of history learning and to find a way to find a balance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s. The students tried to get lessons from the past events to see the future. Many students regarded the value of ethnicity and national narrative, as well as the value of distribution and justice, as the standard for learning. Even if their problems conflict with the value of democracy, students are given priority in what is realistic in their interests and sometimes silent in their injus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fairness has an opportunity for experience to expand to the justice that students think through the process of public delib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