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문화자원이 주된 관광자원으로 활용되는 지역은 방문객에게 과거에 대한 느낌을 제공해주고, 그 당시의 생활상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더불어 관광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의 형성은 재방문이나 구전효과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문화유산관광지의 이미지에 대한 관리와 고유성의 인식은 재방문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본 연구는 문화유산관광지의 이미지와 행동의도 간의 관계에서 고유성 인식이 매개효과를 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백제문화유적지를 방문한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이미지의 3개 요인(관광자원, 관광시설, 접근성)과 행동의도 간 관계에서 고유성 인식(객관적 고유성, 구성적 고유성, 실존적 고유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객관적 고유성은 관광자원, 관광시설, 접근성 모든 요인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적 고유성은 관광자원과 관광시설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존적 고유성은 관광시설에서만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문화유산관광지에 대한 고유성 인식은 이미지와 행동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요인이며 특히 객관적 고유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Destinations with historic cultural attractions as major tourism resources should provide both images and life experiences of the past to visitors. What is more, quality experiences can promote revisitation and positive word-of-mouth recommendations. Therefore, the images of cultural heritage tourism sites and perceived authenticity play very important role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uthenti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behavioral attention at cultural heritage sites, actual proof analysis with visitors to a Baekje cultural heritage site was carried ou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uthenticity (objective authenticity, constructive authenticity, existential authenti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image factors (tourism resource, facility, accessibi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objective authenticity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all three image factors. Furthermore, constructive authenticity had a mediating effect on tourism resource and facility, while existential authenticity had a mediating effect only on tourism facility. To conclude, perceived authenticity of a cultural heritage tourism site is one of the factors having a mediating effect between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refore, there should be a strategy to enhance recognition of objective authent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