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스토리텔링연구의 학문적 기초 작업을 논하고 스토리텔링연구의 본보기로 서사무가를 예로 들어 작품 만들기의 기법을 검토한 연구이다. 스토리텔링은 구조서사학의 일환으로 서사작품을 생성하는 데 초점을 둔다. 과거의 구조주의 서사학이 서사구조를 해부하는 해석학인 데 비하여 최근의 스토리텔링은 이미 만들어진 서사작품을 활용하여 새로운 서사작품을 생성하는 이론과 실제를 탐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토리텔링은 중국이나 한반도의 전통사회에서 이미 널리 보급되어 실행되어 온 이야기 구연행위로서 굿마당에서 무녀가 구연하는 서사무가, 이야기꾼의 이야기나 강독사의 소설 낭독, 그리고 명창들의 판소리 구연 등이 두루 포함된다. 오늘날의 스토리텔링도 이들 전례로부터 원리와 방법을 시사받을 수 있다. 서사는 주체가 특정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움직이면서 의미를 생성하는 양식으로서, 이를 연구하려면 주체, 움직임, 시간과 공간의 성격,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서 유발되는 흥미를 기본적으로 탐구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위한 기초 과제로서 이러한 여러 요소에 대하여 개념과 특징을 살폈다. 서사무가의 스토리텔링 원리를 보면 먼저 핵심서사가 결혼과 출산의 반복으로 전개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인류가 결혼과 출산을 통하여 생존을 지속한다고 하는 원리를 드러낸 원초적 서사의 성격을 지닌다. 텍스트 만들기 기법에서는 이전부터 전승되던 단위사설들을 서사의 국면에 따라 폭넓게 삽입해서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논문에서는 <성조신가>를 예로 들어 그러한 작시원리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구비공식구 이론으로 널리 알려진 작시원리를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적용한 실레를 검토해 본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concept of storytelling and basic academic tasks for research on storytelling and to examine the methods of writing shamanic epics by taking them as an example of research on storytelling. Storytelling focuses on producing narrative works as a part of structural narratology. Previously, structural narratology involved the use of hermeneutics to dissect a narrative structure, but recently, storytelling has been characterized by employing premade narrative works and exploring theory and practice to produce new narrative works. Storytelling is the behavior of telling a story that has been widely distributed and practiced in traditional communities of China or the Korean Peninsula. It includes narrative shaman songs sung by a female shaman in the field of gut (exorcism), storytellers’ tales or novel reading, and master singers’ performance of pansori. Today’s storytelling too may seek implications about principles and methods from these precedents. Narrative is a mode of producing meaning while the agent moves around within a particular time and space. To investigate this,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agent, movement, characteristics of time and space, and interest induced by that movement. As a basic task for storytelling,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elements. Regarding the principle of storytelling in shamanic epics, first, the nuclear narrative develops with the repetition of marriage and childbirth. This reveals the primitive narrative that represents the principle that humankind continues to survive through marriage and childbirth. The method of writing the text for a shamanic epic is characterized by exclusively inserting and applying unit saseol transmitted from a long time ago according to the aspects of the narrative. This study uses <Seongjosinga> as an example to understand the principle of creating poems in detail. This is because the principle of writing poems, widely known as oral formulae theory, has been introduced into storyt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