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기장의 성곽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연구에서 기장 성곽의 인식에 대한 연구는 미약하였다. 성곽은 가시적인 성격이 큰 구조물이므로 지역사회의 인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기장 성곽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장의 성곽은 총 6개소가 잔존한다. 기장에는 다양한 유형의 성곽이 존재한다. 성곽 운용의 특징은 성곽이 지속적으로 운용된다는 점이며, 동시기에 2개소 이상의 성곽이 운용된다. 성곽의 운용은 ‘7세기-통일신라-여말선초-임진왜란전후-17세기 이후’의 5시기로 나누어진다. 이를 바탕으로 성곽에 대한 인식을 국가적인식과 지역사회의 인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국가적 인식은 지명과 지리적 인식에 나타난다. 기장의 지명변화는 ‘갑화량곡-기장(차성)’이다. 그 의미는 ‘변두리마을’이며 변경의 요충지로 볼 수 있다. 기장의 성곽은 기장이라는 지명을 가시적인 효과로 표현하는 상징성을 지니고 있었다. 기장에 대한 기록에도 중요한 요충지라는 지리적인식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기장의 성곽은 지속적으로 운용될 수 있었고, 성곽의 운용은 지역사회에 성곽에 대한 인식을 남겼다. 지역사회의 성곽에 대한 인식은 고지도에 나타난다. 기장의 고지도에는 지역의 중심인 읍성을 비롯하여 유사시에 활용할 수 있는 성곽을 표기하였다. 성곽의 인식에 대한 또 다른 예로 진산과 성산을 들 수 있다. 기장의 진산은 탄산이다. 탄산의 유래는 제철과 관련이 있으며, 진산의 조건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고지도에 성산이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성산은 기장산성이 입지한 산을 뜻한다. 성산이 표기된 이유는 기장산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 진산인 탄산과의 혼동을 방지하고 성곽을 활용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러한 여러 사례들을 종합해보면 기장의 성곽은 지역사회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지역 사회 내에서 다양한 인식으로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cal perception of the Gijang(機張) fortress. In previous studies, there was a lack of examination into the Gijang fortress. A fortress is a big conspicuous structure and in turn has a big impact on local society’s perception. Therefore, the study looked into the local perception of the Gijang fortress centering on literatures. The Gijang fortress has 6 remaining sections. There exist various types fortresses in Gijnag. In terms of operation,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y continued to operate and two or more operated at one time. The operation of fortresses can be divided into 5 periods, “7th century – Unified Shilla(新羅) – End of Goryeo(高麗) and beginning of Joseon(朝鮮) –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 Since 17th century” Based on this, the study classified the conception of fortress into a national perception and a local perception. The national perception appears in geographical names and perceptions. The name of Gijang has changed “from Gaphwaryanggok(甲火良谷) to Gijang(Chaseong,車城)” It means ‘a suburban town’ or a strategic point in the frontier. The Gijang fortress symbolizes the geographical name, Gijang in a visual presentation. The geographical perception of a strategic point was also reflected in historical literatures about Gijang. Therefore, Gijang fortress could be operated continuously and the operations of the fortress left its perception in the local society. The local society’s perception of fortress also appears in old maps. In the old maps of Gijang were marked Eupseong(邑城), a center of the region as well as fortresses which could be used in emergency. Other examples of the perception of fortress are Jinsan(鎭山) and Seongsan(城山). Jinsan of Gijang is Tansan(炭山). The origin of Tansan is related to steel and it suits Jinsan’s condition. In addition, the geographical name of Seongsan also appears in old maps. Seongsan means the mountain where the Gijang fortress is located. Seongsan was marked due to local society’s perception of the Gijang fortress and for preventing confusion with Tansan and utilizing the fortress. Judging by these various examples comprehensively, the Gijang fortress had a continuous impact on the local society. In addition, it appeared as various perceptions in the local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