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의성 지역어의 르-불규칙, 애-불규칙, ㅎ-불규칙이 기저형의 차이를 살피는 것이 목적이다. 2장에서는 불규칙의 정도성 문제와 명칭 문제를 고찰하였다. 르-불규칙은 의성의 서부에서는 중부 방언과 유사하게 복수 기저형 /X{ㅡ-르}-/로 존재하며 동부에서는 복수 기저형 /X{ㅣ-리}-/로 존재한다. ‘모르다’의 경우는 서부와 동부 모두 /X{ㅣ-레}-/의 형태로 존재한다. 르-불규칙 용언이 아닌 ‘읽다’는 이 지역에서는 르-불규칙 용언과 유사한 형태로 활용형이 나타나 기저형도 르-불규칙 어간과 동일하다. 애-불규칙은 서부에서는 주로 /Xㅎ{ㅏ-ㅔ}-/로, 동부에서는 주로 /X{ㅎ-ㅔ}-/로 나타난다. ㅎ-불규칙1은 기존의 ㅎ-불규칙에 대응되는 것으로 서부와 동부에서 모두 /X{ᅟᅥᇂ-ㅓ-ㅔ}-/의 복수 기저형으로 존재한다. ㅎ-불규칙2는 ‘많다’에서처럼 주로 기저형은 서부와 동부에서 모두 /X{ㅎ-ㅔ}-/로 존재한다. ‘옳다’의 경우 서부에서는 중부 방언과 마찬가지로 단일 기저형 /Xㅎ-/로 존재하며 동부에서는 ‘많다’와 마찬가지로 복수 기저형 /X{ㅎ-ㅔ}-/로 존재하는데 이것은 ㅎ-불규칙2에 해당한다. ‘그렇다’는 동부에서는 ㅎ-불규칙2에 해당하는 복수 기저형의 유형을 보여 /X{ㅎ-ㅔ}-/로 존재하지만, 서부에서는 음운의 변화로 인하여 기저형이 달라졌다.


This paper aims to study underlying forms of the so-called lɨ, ɛ, h-irregular stems in the Uiseong sub-dialect, and there are main differenc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areas in Uiseong based on these irregular stems. In terms of irregular stems, lɨ-irregular stems exist in multiple underlying forms: /X{ɨ-lɨ}-/ in Western areas and /X{i-li}-/ in Eastern areas. Meanwhile, ɛ-irregular stems mainly exist in multiple underlying forms: /Xh{a-E}-/ in Western areas and /X{h-E}-/ in Eastern areas. The H-irregular 1 i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h-irregular, and the h-irregular 1 mainly exists as the multiple underlying form, /X{h-E}-/, in both areas. However, 'olh-' exists as the single underlying form /Xh-/ in the Western areas and in the multiple underlying form /X{h-E}-/ in Eastern areas. Finally, for 'gɨlʌh-' for example, h-irregular 2 exists as the multiple underlying form /X{h-E}-/ in the Eastern areas, but in the Western areas, it exists as the multiple underlying form /X{ɨh-E}-/ because of sound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