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김남조와 홍윤숙의 초기 시를 비교 검토한다. 전후 한국의 중요한 여성시인으로 손꼽히는 김남조와 홍윤숙은 1950년대에서 1960년대에 발표한 초기의 시편들에서 전쟁의 상흔을 극복할 방법을 모색한다. 한국전쟁기부터 창작 활동을 시작한 김남조는 첫 시집 『목숨』에서 엄혹한 전쟁기의 현실을 드러낸다. 김남조는 삶을 갈구하는 격정적인 어조의 시편들을 발표하는 한편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 죽음과 영원, 그리고 존재에 대한 사유를 시작한다. 특히 전후에 발표된 시들에서 김남조는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통해 사랑의 대상과의 합일을 추구함으로써, 전쟁 이후 파괴된 ‘인간성’의 회복을 시도한다. 이러한 그의 작업은 분절된 세계에서 시인의 역할이란 무엇인가를 고뇌한 결과이자, 특히 여성적 언어를 통해 모든 존재를 감싸 안고 치유하는, 이른바 여성형의 완성태가 되고자 하는 시도이기도 하다. 김남조가 여성적인 어조를 통해 인간 사이의 화합을 이루려는 데에 비하여, 홍윤숙은 도리어 정제되고 지성적인 단어들을 주로 사용한다. 특히 홍윤숙의 초기 시편들에는 수목적 이미지와 불의 이미지가 병존한다. 타오르는 불의 이미지는 무성한 생명력과 연결되며 시 속의 화자는 살아있음의 희열을 경험하는 것이다. 하지만 불의 이미지가 활용된 시편들은 이후 창작된 시에서는 점차 그 수가 줄어들고, 대신 수목의 이미지가 주로 등장한다. 이는 내면에 존재한 생명력과 존재의 본질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발산하는 불의 이미지보다는 내적인 생동력과 영원성의 이미지를 지닌 나무의 이미지가 유효한 까닭이다. 그러므로 홍윤숙은 내면의 강인한 생명력을 표현하고, 이에서 인간의 의지와 존재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수목의 이미지와 함께 정제된 어조를 활용하였던 것이다. 전쟁을 체험한 두 시인의 시가 같은 방향을 향해 나아가면서도 그 언어적 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것은 당대의 현실에 대한 회복 가능성을 서로 다른 방법과 언어로 모색한 까닭일 것이다. 현실의 근원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인간 내부의 문제를 밝히는 것이 우선이라 판단한 이들에게 내면세계의 탐색은 정신적․지성적 탐색 방법이었다. 즉 이들에게 ‘시를 쓰는 일’은 민족이나 국가의 차원을 벗어나 인간이 스스로 초래한 비극을 해소하고 인간 본연의 모습을 회복하는 일과 맞닿아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이른바 반대항에 있는 것으로 여겨져 온 ‘여성적’ 어조와 ‘지성적’ 어조라는 서로 다른 언어가 전략적으로 선택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1950년대 여성 시인들의 시는 새로 조명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poems of Kim Nam Jo and Hong Yun Suk, who are considered important female poets of postwar Korea who sought to overcome the scars of war in the early poems of the 1950s and 1960s. Kim Nam Jo began her creative activities during the Korean War, revealing the harsh realities of the war period in her first poems. She began to explain death, eternity, and existence by going one step further while discussing of life craving for life. In particular, in her poems published in the postwar period, Kim Nam Jo pursued the possibility of recovery through the communication of real existence by pursuing unity with love objects through the voices of female speakers. This work resulted from agonizing about the role of the poet in the segmented world and attempted to become a so-called gendered form that embraced all beings, especially through feminine language. In contrast to Kim Nam Jo's attempts to achieve harmony among human beings through feminine tones, Hong Yun Suk mainly uses refined and intelligent words. Especially in her early poems, there is a coexistence of the image of the purposive purpose and the image of fire; the image of a blazing fire is linked to the vitality of life, and the narrators in the early poems experience the joy of being alive. However, Hong Yun Suk gradually used the image of fire less often in her later poetry and primarily used the image of the tree instead because trees, with their image of inner vital force and eternity, are more effective than radiating fire for revealing the essence of existence and vitality existing inside. Therefore, Hong Yun Suk expressed the inner strength of vitality and used the refined tone together with the image of the tree to reveal the human will and meaning of existence. The poetry of these two poets who experienced the war proceeded in the same direction, so the differences in their linguistic characteristics could be because of the different methods and language they used to recover the realities of the present. For those who believe it is best to reveal human beings’ inner problems in order to solve the fundamental problems of reality, the search of the inner world was mental and intellectual. In other words, for these women, poetry was related to the nature of human beings, which resolved human tragedies beyond the nation or state levels. In this process, the women strategically chose different languages, the “female” tone and the “intellectual” tone, which were considered to be in so-called opposition. In this respect, the poetry of female poets of the 1950s needs to be re-illumin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