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undertakes a comparative work between the Aramaic text, TADAE 4.7 and Haggai 1:1-2:9 in order to discover the sociological function and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emple in Jewish community during the time of the Persian Empire. Both texts are engaged with temple construction, one is about the temple of YHW in the island of Elephantine in Egypt and the other one is about the temple of YHWH in Jerusalem. Before a comparative work, the structure of each text is analyzed. A general comparison between the two texts is summarized. Then, detailed comparative studies reveal some crucial points in which we discover specific roles and meanings of the temple in the Persian colonies. From the new findings, we conclude theological and sociological significance of each temple: the role of the temple of YHW was to keep the life of community in Elephantine in safety and regularity, while that of temple of YHWH was to envision and transform the life of community in Jerusalem into a distinctive commonwealth of God. In fact, the campaign of the temple rebuilding was one of the patterns of the Persian policy derived from the Ancient Near Eastern antiquarianism, a kind of ideology which values the former form and contents of antiqueness. This paper reinterprets the temple projects in the context of the antiquarianism and finds social and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Jewish temples, which has been evaded from scholars’ discussion on the rival temple of YHWH in the foreign country.


이집트 나일강의 한 섬인 엘레판틴에서 발굴된 엘레판틴 사본은 주전 6세기 이후 이집트에서 생활했던 유대인들의 사회적, 종교적 상황을 설명해준다. 특별히 주전 5세 기경 작성되었던 엘레판틴 성채의 유대인 성전 재건에 대한 편지는 예루살렘을 떠난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의 사회적 형태와 종교적 상황을 설명해주는 성서 이외의 귀중한 역사적 정보이다. 본 연구는 아람어로 쓰여진 이 편지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엘레판틴에 세워진 유대인의 성전인 야호(YHW) 성전과 포로기 이후 예루살렘에 세워진 이스라엘의 제2성전인 야웨(YHWH) 성전의 사회적 역할과 신학적 함의를 비교연구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엘레판틴 사본 TADAE 4.7과 구약성서 학개 1:1-2:9의 본문을 각각 분석 하고 성전 재건과 관련된 각 본문의 상이점과 특이성을 주목하면서 당시 유대인 사회에서 성전이 어떤 역할을 담당하였는가를 추적하였다. 특별히 엘레판틴 사본에서 강조되는 “이전의 모습 그대로” 새로운 성전을 재건해야 한다는 요구는 페르시아 정부가 식민지 정책의 원리 중 하나로 채용하고 있던 유물중심주의(antiquarianism)에 기반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엘레판틴 성전과는 달리 학개가 요청하고 있는 예루살렘에 세워지는 새로운 성전은 “이전의 모습”과는 전적으로 다른 개혁적 성전 공동체를 선포하고 있다. 결국 엘레판틴 성전이 기존의 삶의 현상 유지에 봉사하고 있다면 예루살렘 성전은 본래 개혁적 야웨 공동체의 이상을 구현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결론을 맺고 있다. 이 비교연구는 기존의 엘레판틴 사본에 대한 연구가 야웨 종교의 종교사적 발전 과정이나 성서고고학적 성막과 성전건축 분야 등에 치중한 것으로부터 관심을 돌려 페르시아 시대의 유대인 성전들이 지녔던 사회적 기능과 신학적 함의를 밝힘으로써 오늘날에까지 미치는 성전의 역할을 밝혀주고 있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