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시 교육의 관점에서 현실 참여 시의 성격을 밝히고 그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현실 참여 시는 시적 주체의 현실 대응 발화로서, 독자는 시에 나타난 현실 대응 방식에 감응하는 형태로 의사소통 구도를 형성한다. 이때 독자는 시의 호소에 대해 직접 응답할 의무는 없지만 시적 발화의 전언, 맥락, 그것이 제출되기까지의 노정 등으로부터 윤리적 감수성을 자극받게 된다. 이러한 논의를 전제로 현실 참여 시가 현재의 시 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문학 교과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크게 세 가지의 교육 모델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현실 대응 발화에 대한 독자의 주체적인 의미 구성이 얼마나 적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가 현실 참여 시 교육의 성공을 위한 관건임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현실 참여 시에 대한 독자의 구성적 이해 방향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일반화된 시적 현실의 파악, 현실 대응의 조건과 실천의 경위 이해, 현실 대응 발화의 소통 맥락 이해를 주요 방향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nature of participation poetry from the viewpoint of poetry education and to suggest a direction to educate it. The participation poetry is a utterance against reality of the poetic subject, and the reader forms a communication framework in a way that responds to the method of coping with reality. Based on these assumptions, literature textbooks were reviewed to identify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ent educational models of participation poetry. As a result, we found three educational models of participation poetry, and the issue identified from these is how well the reader’s subjective meaning construct can be made about utterance against reality.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we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constructive understanding of the reader about participation poetry. We have proposed a generalized understanding of poetic reality, understanding the conditions of coping with reality and the details of practice, and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utterance against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