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존감 불일치란 자아에 대해 두 가지 개별적 태도(명시적 자존감, 암묵적 자존감)가 동시에 존재하며, 각각의 태도가 일치 혹은 불일치할 수 있음을 뜻하는 개념이다. 특히 자존감이 불일치하는 경우, 명시적 자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과 반대로 명시적 자존감은 낮지만 암묵적 자존감이 높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자존감 불일치 수준 및 두 하위 유형에 따라 SNS에서 네 가지 과시 대상(물질, 경험, 친분, 펫)을 통해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사진 업로드, 해시태그 사용)을 보이는 정도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내용분석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자존감 불일치 수준이 높을수록 SNS에 물질이 나온 사진을 더 업로드하고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더 선명히 드러내며, 물질이 언급된 해시태그를 더 사용했다. 더불어 자존감 불일치 두 하위 유형에 따라 SNS에서 과시적 자기표현을 위한 대상 및 방식의 차이 또한 나타났다. 과시 대상의 경우, 물질 및 경험을 통한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에서는 두 유형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명시적 자존감이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은 낮은 유형은 친분을, 반대의 유형은 펫을 통해 과시적으로 자기표현을 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나아가 명시적 자존감은 높으나 암묵적 자존감이 낮은 유형은 해시태그를 통해 과시 대상과 자신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드러낸 반면, 반대 유형은 사진에서 브랜드 로고를 가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비교적 간접적으로 과시적 자기표현을 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SNS에서의 자존감 불일치와 과시적 자기표현 행동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fferent patterns in conspicuous self-expression on SNS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steem discrepancy and its’ subtypes(higher explicit self-esteem and lower implicit self-esteem vs. lower explicit self-esteem and higher implicit self-esteem). Prior research suggested that the greater self-esteem discrepancy people experience, the more materialistic they become. Based on this prior research, it was anticipated that people with greater self-esteem discrepancy would use more materials on SNS to conspicuously express themselves than those with less self-esteem discrepancy. However, two subtypes of self-esteem discrepancy are also known to have notably different characteristics such as narcissism and modesty. Thus different usage of subjects(material, experience, relationship, pet) and methods (picture, hashtag) are expected in their conspicuous self-expressions on SNS depending on the self-discrepancy subtypes. 127 students and their Instagram accounts were recruited to conduct a survey and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participants with greater self-esteem discrepancy uploaded more pictures featuring materials with clearer vision of its’ brands and more hashtags mentioning materials than their counterparts. Furthermore, two subtypes of self-esteem discrepancy employed different subjects and methods to manage their impressions on SNS. While participants with higher explicit self-esteem and lower implicit self-esteem preferred to choose relationship as a subject and hashtag as a method, those with lower explicit self-esteem and higher implicit self-esteem rather chose pet as a subject and picture as a metho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