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최근 한국사회에서 큰 문제로 대두된 과도한 사교육비지출에 주목하여, 그러한 사교육비지출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수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령기 자녀를 둔 서울지역 부모들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가 외적타당성을 지니도록 하기 위해 초등, 중등, 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들이 고루 포함됨과 동시에, 고른 소득계층이 반영되도록 계층표집(stratified sampling)하였고, 응답에 있어 사회적 바람직성에 의한 편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온라인 조사를 통해 317명의 응답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은 현재 우리사회의 소득불평등이 높다고 지각한 응답자일수록 많은 교육비를 지출하였으며, 현재 삶에서의 낮은 행복감, 삶의 의미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득불평등에 대한 지각은 사회적 불안의 일종인 교육불안의 완전매개로 소비자의 사교육비지출에 영향을 미친다. 다시 말해 현재 우리 사회에서 분배 공정성이 낮다고 생각할수록 교육불안의 수준이 높으며, 이것은 다시 사교육비지출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분석에 따르면 응답자들의 가계소득과 학력수준은 교육불안을 예측하지 못하였다. 셋째, 교육불안을 매개로 한 소득불평등지각-사교육비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예측된 세대간 유동성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지닌다. 넷째, 사교육비지출은 소비자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다섯째, 사교육비지출은 의미 있는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분석에서 자녀의 수, 부모의 최종학력, 월 가계총소득 등이 통제변인으로 사용되었다. 더불어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몇 가지 제시하였다.


Korean society is suffering from excessive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that is consistently undermining consumer happiness.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effect of perceived income inequality on education expenses through social anxiety about educa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education expenses on the consumer happiness and meaningful life. Despite its importance of filling the gap between this phenomenon and theory, we can find few consumer research on the underlying mechanism of excessive educational expense. For this purpose, we have conducted a survey with 317 respondents by stratified sampling method to minimize potential confounding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ncome inequality perception affects negatively consumer happiness. Respondents who reported high income inequality showed high level of spending on private education and low level of happiness of life. Second, income inequality-happiness relationship is mediated by social anxiety about education. Consumers who perceived their society as inequal, they felt higher level of educational anxiety. Third, expected intergenerational mobility moderates social mobility-happiness relationship through social anxiety (mediated moderation). Consumers expect future social class of their children to be much higher than their own.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ir educational expense as a ‘wishful coping behavior’ against current anxiety. Fourth, educational expense has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meaningful life. Fifth, income and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on educational anxiet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idea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