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인의 직업교육을 위한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구축 및 활용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 관련 수요와 특수성에 따라 현행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보완하기 위해 보완 대상의 구성요소(예: 능력단위, 능력단위 수준 등)를 분석한 후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를 참조하여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관련 선행연구로부터 현행의 장애인 직업교육훈련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후 위의 분석 결과가 구축된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정합성을 유지할 경우 기대되는 이점과 의의를 활용방안으로 반영하였다. 연구결과: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장애인의 직업교육훈련과 관련된 제반 수요에 기반을 둠으로 인해 현행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내용 및 구성체계를 보완하고자 하였으나, 기본적으로 현행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을 두었다. 이런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총 6가지의 단계로 구축되었는데, 세부적으로는 (1) 기초 작업 단계, (2) 능력단위 보완 활용에 기반한 학습모듈과의 정합성 고려 단계, (3) 능력단위별 수준 설정에 기반한 경력개발경로 및 자격 설계 단계처럼 세 가지로 분류되어 구축되었다. 다음으로, 구축된 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방안으로 (1) 국가적 수준의 장애인 직업교육과정 기반 마련, (2) 취업 연계 및 경력개발 기반의 일․학습 병행제 기틀 마련, (3) 장애인 직업교육훈련 유관기관 간 통합 협업체계 강화, (4) 전문인력의 역량 재구조화 촉구, (5) 과정지향적인 평가에 기반한 자격 설계, (6) 현행 일반 국가직무능력표준 활용성 강화가 제시되었다. 논의: 두 가지의 연구 내용(장애 맞춤형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구축방안, 활용방안)이 기능적으로 시사하는 바를 중심으로 논의 및 제언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thod of constructing and using the differentiat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for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 After analyzing components of present NCS that need improvement (e.g. unit of competency, level of competency, etc.) according to demand and specificity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NCS for the disabled were constructed by referring to the results of existing relevant studies. In addition, following the analysis of overall conditions and problems involving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existing studies, advantage and significance of maintaining consistency between the analysis results and NCS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 Results: Although NCS for the disabled attempted to make improvement on the contents and system of present NCS by reflecting relevant demands, they are fundamentally based on present NCS. NCS for the disabled were constructed in six steps, classified into three detailed steps including (1) groundwork step, (2) step considering consistency of competency unit with learning modules, and (3) step of designing career development pathways and qualification based on competency level. Suggested methods of utilizing NCS for the disabled were (1) preparation of groundwork for nationa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 preparation of framework for work-study system through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3) reinforcement of collaboration among institutions related to vocational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4) facilitation of restructuring competency of professionals, (5) designing of qualifications based on process-oriented evaluation, and (6) increasing the use of present NCS. Conclusion: Functional implications of the two study topics (method of constructing and method of using NCS for the disabled)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