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일제하 군산이라는 특정 공간의 표상이 문학적 형상화 과정을 거치면서 어떻게 자리를 잡고 있는지 그 변모의 양상을 살폈다.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도시 가운데 하나인 ‘군산’은 그것의 지리적, 정치경제적 위상과 함의에 따른 몇 가지 공간 담론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것은 개항 및 군산의 식민지 도시화와 맞물려 있는데 일제의 강압적 근대화의 전개 양상에 따라서 ‘과도기적 공간’ ‘선교거점의 공간’ ‘식민성의 확산 공간’ ‘암울한 현실 공간’으로 점차 변모하는 양상을 보이는 특징이 있다. 이 과정에서 군산은 전반적으로 식민지 근대성의 문제를 부각하는 장소로 제시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ransformation features of geographical and literary represent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on of Gunsan embodied in the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You can extract a few literary codes linked to Gunsan, One of treaty ports in Colonial along with its political status and implication. This is a colonial city of Gunsan and the yoke of Japanese colonial rule, especially under the Changing Process of Modernization to be the strengthening as a ‘transitional space’ ‘missionary space’ ‘the spread of the colonial office place’ ‘dismal reality space’, accelerate an increasingly modern colony, and appear on the space of literature that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wag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