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4년 지방선거 직전에 실시된 온라인 서베이 자료를 분석해서 세월호 재난보도를 통한 ‘대통령 관련 적대적 미디어 지각’의 발생을 검증하고 이슈 관여가 대통령의 재난 책임 여부에 대한 의견 및 적대적 미디어 지각과 각각 어떠한 관계에 있었는지 탐구했다. 연구자들은 세월호 재난의 책임이 대통령에 있는지에 대한 의견과 대통령을 다루는 미디어 보도의 논조 지각 간에 부정적인 관계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적대적 미디어 지각 연구에서 관여 개념이 불분명하게 사용된 점을 고려해, 재난이슈 관여가 적대적 미디어 지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세월호 재난의 책임 여부와 관련해 대통령에 옹호적인 집단과 비판적인 집단별로 (1) 관여와 개인 의견의 강도 간 비례적 관계가 있었는지 여부와 (2) 관여가 높을수록 적대적 미디어 지각도 증가했는지 여부를 분석했다. 그 결과, 재난이슈 관여는 대통령 옹호 집단과 비판 집단 중 오직 후자에서만 적대적 미디어 지각 연구에서 전제되는 관여 유형에 부합하는 특징을 보였다. 반면, 대통령 옹호 집단에서는 의견 강도가 높은 사람들 중에 재난이슈 저관여자의 비율이 더 높았고 재난이슈 관여와 대통령 관련 적대적 미디어 지각 간에 부적인 관계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재난이슈 관여가 적대적 미디어 지각을 유발하는 관여 유형의 대리 지표로 부적합함을 뜻하며, 아울러 이슈 관여와 적대적 미디어 지각 간의 관계가 기존의 통념보다 훨씬 복합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 involvement and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related to the president through the news on Sewol ferry disaster. This study used the survey data which was conducted in the 2014 local elections. We have found that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pinions about whether the responsibility for the disaster is in the president and the perceptions of the media coverage on the president. This study also analyzed how the concept of issue involvement affects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The concept of the involvement is unclear in the existing study of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1) whether there w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issue involvement and the individual opinion on the responsibility of the present, and (2) whether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increased as the involvement increased. As a result, Issue involvement has affected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in the critical group toward president. On the other hand, in the advocacy group,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involvement of the disaster issue and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This analysis implies that the involvement of disaster issues is inadequate as a proxy indicator of involvement type that induces hostile media perception, and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ssue involvement and the hostile media perception may be more complex than conventional as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