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공공봉사동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직무자율성과 혁신지원적 조직문화가 공공봉사동기와 직무열의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공공봉사동기의 매개효과를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들의 이론적 주장과 설명을 바탕으로 부분매개작용 모형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연구모형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공공기관 직원 248명의 응답을 표본으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 직무자율성은 공공봉사동기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혁신지원적 조직문화는 공공봉사동기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봉사동기 역시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공봉사동기가 매개작용을 한다는 가설이 입증되었다. 즉, 정부출연기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자율성과 혁신지원적 조직문화는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공공봉사동기를 통해서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에는 학계와 실무계를 위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한계 및 미래연구 방향을 포함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autonomy, innovation-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public service motivation,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 partial mediating model was suggested based on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 and empirical findings. The suggested research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employ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data obtained from 248 employees working in government-funded institut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The testing reveals that first, job autonomy was positively related to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job engagement, second innovation-supportive organizational culture was positively related to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Thus, the hypothesis on the mediating public service motivation was supported. This study suggested new effectiv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and innovative behavior by testing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potential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