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문화정책 거버넌스의 수준과 활성화 요인을 파악하고, 향후 전개될 지역문화정책의결정과 집행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거버넌스의 구성요소를참여, 협력, 그리고 공동의사결정으로 선정하고, 거버넌스 활성화의 주요요인으로 크게 행위자특성요인, 법・제도적요인, 환경적 요인 등 3가지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지역문화정책 거버넌스의 수준은 참여(2.98), 협력(2.87), 공동의사결정(2.55)의 순으로 중간이하의 낮은 수준(평균2.80)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버넌스 활성화요인에 대한 인식수준도 중간이하의 낮은 수준(평균2.72)을 보였으며, 각 요인별로는 행위자특성요인(3.06), 환경적 요인(2.67), 법・제도적 요인(2.56) 순이었다. 셋째, 지역문화정책 거버넌스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갈등조정 및 중재 장치로 나타나, 향후 최우선적 과제로 협의기구의 구축 및 실질적 운영방안의 모색이필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문화정책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examining the levels and the Invigorating factors in the local cultural policy governance and suggesting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efficiency on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local cultural polic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governance levels are selected three components: participation, collaboration, collective decision making, and then three main invigorating factors were analyzed,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actors, the legal system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ance levels in the local cultural policy shows below average level(2.80) with results in sequence participation level(2.98), collaboration level(2.87), collective decision making level(2.55). Second, perceived levels for invigorating factors of governance shows also below average level(2.72) with results in sequence the characteristics of actors(3.06), the environmental factors(2.67), the legal systems factors(2.56). Third, each component of the local cultural policy governance were most affected by conciliation and arbitration service commonly, from now on, we need building of consultative committee and seeking practical operational plans as the top priority.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result, this paper suggest invigorating methods of the local cultural policy governance and policy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