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미국에서는 학교 폭력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수정하여 회복적 사법의 관점에서 사건의 심각성을 구분하고 사안에 따른 대응 조치를 취함에 있어서 가해 학생의 회복을 돕는 회복적 조치를 학교폭력 예방의 근본적 해결방안이라고 인식하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각 학교 지구는학생행동준칙을 제정함에 있어서 회복적 가치를 핵심원리로 규정하고, 이를 실천하는 첫 단계로 학교의 전체적인 문화를 긍정적인 것으로 변화시키는 노력과 더불어 개별 사건의 처리를 위해 사안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그 정도에 맞는 단계별 대응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도록 규정함으로써 가해학생에 대한 조치가 징계위주가 아닌 회복적 조치가 되도록 운영하고 있다. 학교지구별로 학생준칙을 제정함에 있어서도 이해관계자들의 참여를 보장함으로써 절차의 공정성, 투명성이 확보되고, 그 운영에 있어서도 학교의 재량이 보장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학교폭력과 관련한 조치가 회복적 가치를 반영하도록 설계,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나라의 경우 학교폭력예방법이 학교폭력이 발생하면 9가지의 조치를 취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자치위원회와 학교장의 재량이 거의 없고, 해당 조치 유형도 회복적 가치를 반영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학교폭력예방과 가해학생의 선도라는 법의 제정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시⋅도교육감이 학생규칙을 제정할 때 회복적 가치와 원리를 반영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자치위원회 또는 학교장이 합리적 재량 하에 실시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discusses possible legal improvement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by focusing on student code of conduct from the perspective of restorative justice. The currently ongoing change in the United States provides much implication with the Korean society where school violence is as serious an issue as in the United States. The zero-tolerance policy on school violence in the United States over two to three decades has been much criticized due to its disproportionate application against african-american or other minority groups with harsh discipline, such as long-term suspension, expulsion, or report to the police. The zero-tolerance driven discipline, however, has failed to attain its original purpose, deterrence effect of school violence. Therefore, a variety of states and school districts in the United States have changed their school violence prevention policy by adopting restorative justice and student code of conduct based on established restorative practices and programs. Specifically, the code of conduct which a board of a school district adopts holding a hearing where stake-holders, such as parents, school officials and other interest groups participate categorizes a multitude types of violences and responds to violations on a graduated scale by applying restorative principles. In Korean settings, however, an independent school committee or a school principal must take any one of nine actions which are prescribed in the School Violence Protection Act without giving any opportunity for a wrongdoing student to restore his or her dignity. Thus, this paper proposes that there should be legal provision which requires superintendents to make an appropriate student code of conduct based on restorative justice princi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