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도시재생의 일환으로 유휴공간 활성화를 위해 영주시에 위치한 과거 KT&G 연초 제조창으로 사용되던공간이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사업의 주변 지역인 ‘학사골목’을 연계하여구도심 골목의 활성화를 위해 장소디자인 브랜딩을통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장소디자인 브랜딩 방법으로 콘텐츠, 환경,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기반으로 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하였으며, 사전조사와 쉐도잉, 설문, 관찰조사, 그룹인터뷰,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 총 5가지 방법론으로 진행하여 학사골목 내부가 가지고 있는 물리적공간과 비물리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방법을찾은 결과 학사골목을 다국적 먹자골목으로 조성하고운영은 영주에 거주하는 다문화인들과 청년들이 협의체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part of the urban revitalization, the space that was used as a production window of KT & G in Yeonju city for revitalization of idle space will be reborn as a multi cultural art space. In this study, we want to explore ways to revitalize the old city center by linking 'Bachelor' s Alley 'around the project to the location design branding. The method of the study was based on the contents, environment, communication, activities by the place design branding method, Through the methodology of preliminary investigation, shadowing, questionnaire, observation,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we proceeded with five methods to find out how to effectively activate physical space and non-physical resources in the undergraduate school. The alley was constructed as a multi-national alley, and the management suggested that the multicultural residents and young people living in the prince would organize and operate a coun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