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스마트폰 중독현상에 관해 외로움과 학업스트레스가 영향을 주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아울러 학업스트레스가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현상 사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초등학교 4∼6학년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244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대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초등하교 저학년을 제외하였다. 자료분석은 세 요인들의 상관분석, 매개효과를 알아보기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로움과 학업스트레스는 스마트폰 중독현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학업스트레스는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 현상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아동들의 외로움을 줄일 수 있는 실천 가능한 방안을 제공하고, 학업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도록 아동들에게 적절한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children's smart phone addiction affects their loneliness and academic stres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tress between lonelin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phenomena. It is aimed at examining the phenomenon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finding and solving the causes.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244 questionnaires from 4th to 6th grade student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of three factor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ly, it wa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between lonelin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academic str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and loneliness and academic stress. Secondly, academic stress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loneliness and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these results of the study, this study suggests a practical way to reduce the loneliness of children and suggests that children need adequate education to reduce academic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