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제3차 평가인증지표에 관한 유아교육기관의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평가인증에 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보통합에 대비하는 평가인증지표를 보다 다각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현장에서 실현성의 차이를 줄이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교사 150명, 유치원 교사 153명을 임의표집 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체계의 적절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각하위영역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표의 항목 중요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환경, 건강, 안전, 보육과정운영,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운영관리하위영역의 대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지표의 구체적 항목중요성에 대한 각 집단의 인식차이를 살펴본 결과 보육환경, 건강, 안전, 보육과정운영, 보육활동과 상호작용, 운영관리의 몇몇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결과들을 통해 유치원 교사와 보육교사의 평가지표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서 추후 통합평가인증지표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fferent points of view on the third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between percep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150 daycare teachers and 153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ub-domai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of each group on the appropriateness of the operating system.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question content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 safety, and management sub-domains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the items in the indicator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ome items such as child care environment, health, safety, operation of day care, child care activities and interaction, and operation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different views on the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daycare teachers’, which can be suggestive for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accreditation index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