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의 목적은 근대 중국에서 자유주의자들이 보여주었던 전통에 대한입장 변화를 분석하고, 근대중국에서 자유주의적 가치들이 결코 공동체의 전통과 별개로수용될 수 없었음을 보여줌으로써 중국특색 자유주의가 탄생하였음을 논증하는 것이다. 중국 근대 자유주의는 오사시기에 전통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들에게 있어서 전통은 구체제와 구세력을 상징하는 동시에 자유와 민주 등과 같은 서구의 새로운가치들을 받아들이는 데에 장애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타도의 대상으로 치부되었다. 그러나 자유주의 내부에서, 특히 절충조화파에 의해 전통과 서구사상을 조화시키고자 하는시도가 있었는데, 그에 대해 자유주의자들은 절충조화파의 태도를 수구 또는 보수라고 비난하였다. 그러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유주의자들 내부에서도 절충조화를 받아들이는자들이 늘어났고, 결국 중국 근대의 자유주의는 전통에 대해 부정적 입장에서 긍정적 또는 객관적으로 해석하려는 입장으로 전환하였다. 이것은 곧 중국적 자유주의의 성립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며, 전통의 자유주의적 수용, 또는 자유주의의 전통과의 융합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공동체의 정체성의 반영인 전통을 배제하고는 개혁은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근대중국의 자유주의는 전통과의 융합을 시도하게됨으로써 공동체적 가치들을 수용함으로써 당대중국에서 전통을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있는 중국특색 자유주의의 탄생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In May 4th Movement Chinese modern liberalists had negative views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s. Tradition was thought as the symbol of ancient regime or old power groups, and in the same time was a handicap to import new western values to innovate China. So it was denied as the object for Chinese to overthrow immediately. But among Chinese liberalist groups, the Eclectic school started to claim to harmonize Chinese tradition and Western thoughts. the Wholesale Westernization school denounced the Eclectic school was extremely conservative. In the meantime, some of the Wholesale Westernization school came to accept a compromising view and to interpret their tradition positively or objectively. Now this view came to characterize Chinese modern liberal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