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사고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극복 경험에 관한 것으로 자녀의 죽음 이후 나타나는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에 이르는 인식과 행위를 구조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을 토대로 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자녀를 잃은 후 3년 이상 된 어머니로 8명이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총 71개의 개념, 33개의 하위범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고, 중심현상은 ‘마음에서 자녀를 내려놓음’으로 나타났으며 과정분석 결과로는 ‘고통의 단계’, ‘전환․수용단계’, ‘조절․성장단계’, ‘재통합 단계’로 나타났다. 선택코딩의 결과, 핵심범주는 ‘마음에서 자녀를 내려놓고 다시 서기’로 확인되었다. 사고로 자녀를 잃은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유형분석에서는 2개의 유형인 ‘현실 추구형’, ‘의미 추구형’으로 구분되었으며 하위유형으로 ‘능동적 현실 추구형’, ‘수동적 현실 추구형’, ‘능동적 의미 추구형’, ‘수동적 의미 추구형’의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고로 자녀를 잃은 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 경험을 살펴 본 것으로, 자녀의 상실을 딛고 살아가는 어머니의 삶을 학술적으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가족상담 및 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the post-traumatic experiences of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in an accident. Methods: Grounded Theory (Strauss & Corbin, 1998) was used in analyzing data from eight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more than 3 years ago. Results: The researchers derived 71 concepts, 33 subcategories, and 13 categories. Analysis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four stages: pain, transition/ acceptance, regulation/growth, and reconsolidation. The core category was “thinking of their children and standing again.” Using typological analysis, the researchers derived two pursuits, “pursuit of real life” and “pursuit of meaning,” with four subtypes: active and passive pursuits of reality, and active and passive pursuits of meaning. Conclusions: The experiences of resilience among mothers who lost their children in an accident can be useful for family counselors and therap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