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구조나 체제의 변화는 개인에게는 새로운 사회적 가치관에 순응해야 하는 과제가 주어지며 한편으로는 사회의 역기능을 초래하는 우려가 있다. 최근, 한국과 일본의 저출산・고령사회가 초래하는 사회적 문제는 성인사회 뿐만 아니라 아동・청소년으로 확산되고 있다. 특히, 아동학대 및 청소년 폭력문제에 대해서는 가정과 학교 및 사회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가정에서의 자녀양육문제는 1970년까지 어머니에 초점이 맞추어진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며 이후 아버지 자녀양육참여 관심이 높아졌다. 본 연구는 최근 한국과 일본의 아버지 자녀양육에 주목하여 양국 정부에 의해 추진된 아버지 육아휴직을 위한 제도개혁의 배경과 그러한 개혁을 통해 실현되고 있는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비교학적인 시점의 연구는 오늘날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아버지의 적극적 양육참여를 이끌어내는데 의미 있다.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system are given to individuals to adapt to new social values an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oncerns that it may lead to the dysfunction of society. Recently,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in Korea and Japan are spreading not only to adults but also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particular, when it comes to child abuse and youth violence, it has been reported affected by family, school, and social factors.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parenting at home, the role of mother was emphasized so that most studies focused on mother until the 1970s. Focusing on father’s child care in Korea and Japan, this study tries to look at the background of institutional reform for father’s parental leave promoted by the two governments and the current status achieved through such reforms. The study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is meaningful in terms of bringing out father’s active involvement which has newly emerged in these days.


社会構造や体制の変化は個人には新たな社会的価値観に順応しなければならない課題が与えられ、一方では社会の逆機能をもたらす恐れがある。最近、韓国と日本の少子・高齢社会が招く社会的問題は大人社会だけでなく児童・青少年に拡散されている. 特に、児童虐待や青少年暴力問題については、家庭および学校や社会要因として報告されている。家庭における子どもの養育問題はお母さんの役割が強調されて1970年までは母に焦点が当てられた研究がほとんどである。本研究では韓国と日本のお父さんお子さん養育に注目して両国政府によって推進された父育児休職を向けた制度改革の背景とその改革を通じて実現されている現状について見てみよう。このような比較学的な視点の研究は今日、新たに浮き彫りにされている父の積極的養育の参加を引き出すことに意味が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