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멜랑꼴리의 시대분위기를 감싸안아 포월하는 김광석의 장소성에 주목하였다. 경계의 산책자 김광석은 멜랑꼴리의 분위기로부터 감싸안아 포월하는 문화적 실험을 이 시대의 새로운 지문 즉 헤테로토피아의 감각파장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김광석의 음악세계는 도시인에게 상실과 내적공허감이 전세대에게 확산되고 감염하는 멜랑꼴리의 분위기에 주목한다. 도시인의 상실된 시간은 마치 기억이 타입캡슐에 갇히는 것처럼, 도시인의 무의식 깊이 초시간적으로, 탈역사적으로 마비되고 왜곡시키는 암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상실의 세계와 현실세계의 경계에서 예민한 감각으로부터 암점의 관통은 상실로부터 도시인의 감각과 에너지를 흡착시키는 ‘멜랑꼴리의 블랙홀’을 극복하는 핵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김광석의 장소성은 노래의 내러티브를 통해 도시인에게 상실의 세계를 다시 현실세계에서 재현되는 즉 마치 문학적 몽타주로서 구현하고 있다. 김광석의 감싸안음은 도시인의 상실과 공허한 무의식 기저로부터 관조와 시간의 향기에 감싸이는 감각점핑으로 멜랑꼴리의 면역성을 자리잡게 한다. 즉 김광석의 장소성은 멜랑꼴리의 시대적 분위기로부터 새롭게 환기되는 감각파장으로 도시인에게 찬란한 유혹과 성과의 전시분위기로부터 경배가치로서 전환함으로써 장엄하고 의연한 도시인의 생애를 예술작품화하는 향유의 미학으로 드높이게 한다.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placement of Kim Gwangseok transcending the times by embracing the mood of melancholy times. Kim Gwangseok, the stroller of border, embodies the cultural experiment embracing and transcending the mood of melancholy using the new text in this times, that is, waves of sense of Heterotopia. The music world of Kim Gwangseok focused on the mood of melancholy which expands and infects all generations with loss and sense of inner emptiness. The lost time of urban dwellers has the dim spot which paralyzes and distorts from deep inside the unconsciousness of urban dwellers beyond time and history like being caught in the time capsule of memory. Penetration into the dim spot using the delicate sense on the border of such lost world and reality is the kernel overcoming the black hole of melancholy absorbing the sense and energy of urban dwellers from the loss. In this context, the placement of Kim Gwangseok implemented the lost world of urban dwellers as the literary montage, like reproduction in the reality, using the narrative of songs. That embracement by Kim Gwangseok secures the immunity of melancholy by jump of sense surrounded by meditation and scent of times from loss and unconsciousness of urban dwellers. In other words, Placement of Kim Gwangseok enhances the waves of sense aroused from the mood of melancholy times to the aesthetics of enjoyment which makes the solemn and dignified life of urban dwellers an art work by converting the mood displaying brilliant attraction and achievement of urban dwellers into the value of wo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