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산업과 직업 관점에서 유리천장 현상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 존재하는지를 분위회귀분해를 통하여 분석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여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정산업이나 직업에 성별분리 현상이 존재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대분류 18개 산업과 9개 직업별로 나누어 분위회귀분해를 하였고, 또한 지역 및 학력수준 간에 비교분석을 통해 보다 세밀한 분석을 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근로자 대상으로 우리나라 성별임금격차는 개인특성 및 생산성의 차이보다 차별적 요소로 인해 더욱 발생함을 보였다. 임금분위별로 살펴보면 역U자 형태를 띠어 전반적으로 유리천장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간 분석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유리천장 현상이 발견되지 않았고, 학력수준간 분석에서는 고학력 근로자인 경우에 두 지역 모두 유리천장 현상이 보이지 않았으나 저학력 근로자의 경우에는 두 지역 모두 심한 유리천장 현상을 보였다. 특히 비수도권 저학력 근로자에게 더 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산업 및 직업별 분석에 의하면, 우리나라 유리천장 현상은 고용성비가 혼합적이고 고숙련을 요구하는 산업이나 직업보다는 남성비중이 높거나 남성위주의 문화(old boy networks)가 팽배하고 저임금, 저숙련으로 여성진출이 용이한 산업이나 직업에서 심각하게 나타났다.


Using the RIF quantile decomposition,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xistence of a glass ceiling for women employees in the Korean labor market. Considering gender segregation by industry and jobs, we examine 18 industries and 9 occupations classified by KSIC alphabetical code and KSCO one-digit code respectively. More specifically, our analysis is extended to investigate the glass ceiling effect by region and educational attainment.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total gender wage gap of all workers is attributable rather to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than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there does not exist the glass ceiling effect for the entire labor market. Secondly, there exists a glass ceiling for the workers with low educational attainment and in non-capital area. This implies that, as the wage quantile moves from lower to higher levels, women employees with low educational attainment and in the non-capital area face significant barriers to career advancement. Lastly, in view of industry and occupation, glass ceilings are more likely to occur in male-dominated industries and occupations or those still ruled by the old-boy networks. Also, the glass ceiling effect is found in low-paid and less-skilled industries and occupations where women are easily acce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