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책의 성공을 위해 수단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개념적 논의에 비해 구체적인 정책사례를 통해 수단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일자리 목표 공시제의 지역별 정책수단선택에 대하여 Howlett(2005)이 제시한 정책하위시스템과 정부역량에 따른 정책선택 차이를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지역별 일자리 정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요인을 통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우선, 군집분석을 이행하였으며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정부역량과 정책하위시스템이라는 기준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ANOVA 분석에서는 시장 또는 보조금 수단을 제외하고 직접일자리, 정보제공, 자발적 공동체 또는 가족 의존 수단에서는 각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인 유의미성이 나타났다. 또한 각 수단 유형별 t-test를 한 결과, 정부역량이 높고 정책하위시스템이 복잡하지 않은 경우에는 직접일자리 창출의 예산 비중이, 정부역량이 낮고 정책하위시스템이 복잡한 경우에는 정보제공 수단의 예산 비중이 높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되었다. 하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Howlett(2005)의 이론적 모형과 결과가 상이하였다. 이를 통해 지방정부의 직접적인 예산이 투입되거나 관료제 조직을 활용하는 정책 수단에서만 정부의 역량과 정책하위시스템이라는 맥락적 요인이 고려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정책수단의 선택에 관하여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기술적인 논의를 보충하는 이론적, 실증적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역의 고유한 맥락적 요인을 반영하여 정책수단의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할 수 있도록 고용정책 환경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 및 분석과 지역고용거버넌스의 활용과 같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해 볼 수 있었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employment policies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features has continued, the 'Disclosing System of Regional Job Creation' has been introduced, systematic research on this issue is lacking.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choice of ‘Disclosing system of Regional Job Creation’ policy instrument in Korea according to the model of Howlett(2005). To be more specific empirical studies, we conducted cluster analysis considering ‘the level of state capacity’ and ‘the level of policy-subsystem complexity’ which is the standard of the theoretical model of Howlett(2005). As a result, it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we conduct ANOVA analysis and examine the difference of budget ratio between four groups, which is stated in the model of Howlett(2005). As a result, although we could find the difference among the four groups except for the ‘market or subsidy’ instrument, it was hard to examine empirically which instrument shows the largest ratio of the budget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the government capacity and policy subsystem. To complement this, we conducted t-test. As a result of the t-test, if the government capacity is high and the policy subsystem is simple, the budget ratio of direct job creation is high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And if the government capacity is low and the policy subsystem is complicate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budget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policy instrument is high. In other cases, however, the theoretical model of Howlett(2005) and the results were different. Through this, direct job creation and information providing instrument, which local government directly uses the bureaucracy or the government budget, the contextual factors such as government capacity and policy subsystem are rationally considered. Therefore, it was found that each region needs rational review or evaluation of the basis of the choice of instruments. In order to do this, it is possible to draw policy implications such as policy effort needed to identify the unique employment policy environment, establishing local employment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