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나타난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믿음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여성 결혼 이민자를 자신의 삶을 이끄는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주체로 보고 있는가, 자신의 의사소통 욕구를 실현하려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언어 사용자로 보고 있는가, 한국 문화와 학습자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있는가를 기준으로 2009년 연구 보고서로 발간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과 이를 기초로 개발된 교재인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의 개발 원리 및 중급 교재의 대화문과 말하기 활동에 나타난 학습자에 대한 이해와 믿음을 분석하였다. 학습자를 삶의 주체로 보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대화에서 수행하는 의사소통 기능과 단원의 의사소통 목표로 설정된 기능의 수행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대화의 언어 외적 맥락을 분석한 결과, 여성 결혼 이민자는 자신의 삶을 이끄는 주체적 역할을 수행하기보다는 남편이나 한국인 지인 혹은 자신보다 한국어가 능숙한 외국인 지인을 통해 정보를 얻거나 도움을 받아야만 하는 존재로 설정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를 언어 사용자로 보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여성 결혼 이민자가 개시하는 발화의 의사소통 기능과 상대자, 말하기 활동에서 학습자가 의사소통 욕구를 실현할 수 있는 활동이 어느 정도나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 결혼 이민지가 개시하는 발화의 기능이 질문과 인사 등으로 다양하지 못하였으며, 의사소통 상대자는 대부분 가족이거나 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말하기의 경우, 통제된 연습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습자가 자신의 의사소통 욕구를 실현할 수 있는 말하기 활동의 비율은 전체의 30%가 되지 않았다. 한국 문화와 학습자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그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대화문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가 자신의 문화에 대해 이야기할 기회가 거의 없었으며, 가정이나 사회에서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협상하는 주체적 일원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전혀 없었다.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에는 이주민의 문화적 배경과 정체성이 존중되는 다문화 사회인 한국을 배경으로 하여, 한국 사회의 주체적 일원으로서, 자신의 의사소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의사소통에 임하는 여성 결혼 이민자를 등장시킴으로써 여성 결혼 이민자가 꿈과 희망을 가지고 한국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격려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understanding and belief about learner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With the standards of whether the curriculum considers female married immigrants as the independent and autonomous subjects who lead their own lives, whether it thinks them as the active language users who want to satisfy their communicative desires, and whether it acknowledge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culture and learners’ culture and respects their cultures, this paper analyz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a research report published in 2009, and the principles of development and the understanding and belief about learners in dialogues and speaking activities of the intermediate textbook Korean Language with Married Immigrants, developed based on the report. To find out whether the textbook considers learners as the subject of their lives,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carried by learners in dialogues, the subject who performs the function set as the goal of communication in the unit and situations and participants, the extralinguistic contexts of dialogues. As a result, female married immigrants more often presented as a person who gets the information from or needs to be helped by husband, Korean friends, or foreign friends who speak Korean more fluently rather than a person who leads her own life. To figure out whether the curriculum sees learners as language users who want to satisfy their communicative desires, it examin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and partners of dialogues started by female married immigrants, and how many activities are included in speaking activities which can help learners satisfy their communicative desires. However, communicative functions of dialogues started by female married immigrants were limited to questions and greetings, and communication partners were mostly families or friends. As for speaking activities, practices were mostly controlled ones and the proportion of speaking activities in which learners can satisfy their communicative desires were only 30%. This paper analyzed dialogues to see if the curriculum acknowledges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Korean culture and cultures of learners and respects theirs. In the dialogues, however, learners seldom had an opportunity to talk about their cultures, and were never be presented as the subject who could negotiate for their rights and duties at home and in society. Therefore,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female married immigrants needs to encourage them to live in Korea with hope and dream by describing female married immigrants as the subject of Korean society who actively participate in communication to satisfy their communicative goals with the settings of multi-cultural Korean society where the cultural backgrounds and identities of immigrants are fully resp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