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의 인지적 특징인 주의 편향이 얼굴표정 정서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대학생 2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불안 척도 점수를 바탕으로 고사회불안집단 20명과 저사회불안 집단 16명을 선별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얼굴표정 정서에 따른 주의 편향을 측정하기 위해 탐사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과제에 사용된 부정적 얼굴표정정서는 분노, 공포, 슬픔이었으며, 긍정적 정서는 기쁨이었다. 실험 과제에서는 중립 사진과 정서 사진의 사진 쌍을 500ms동안 제시하였다. 나란히 배열된 사진 쌍이 사라진 후, 두 공간 중 한 곳에 점을 제시하여 그에 반응하는 속도를 측정하였다. 각 정서에 대한 주의 편향점수는 반응시간을 이용하여 산출되었다. 실험결과, 부정정서가 제시되었을 때에는 집단 간 주의 편향점수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긍정정서가 제시된 조건에서는 유의하였다. 저사회불안 집단에서는 긍정적 정서에 대한 주의 편향이 있으나, 고사회불안 집단에서는 편향이 존재하지 않았다. 즉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에 비해 사회 불안이 높은 사람은 긍정 정서의 얼굴표정에 대한 반응 편향이 적음이 시사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entional biases and emotional expressions. Based on the social anxiety scale scores of 231 college students, 20 high social anxiety individuals and 16 low social anxiety individuals were selected. They participated in the dot probe task, using anger, fear, sadness, and happy expressions as experimental stimuli. After a pair of neutral and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presented for 500ms, a dot was shown and the reaction time to the dot was measured. When the negative emotions were presented, the group difference of attention bias score was not significant. When the positive emotions were presented, however, only the low social anxiety group displayed attentional biases. In conclusion, high social anxiety group showed less response to positive facial e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