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이 대학생의 사회불안 감소에 어떤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비수도권 지역 4년제 대학생 38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공감은 사회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 내면화된 수치심, 공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인정욕구/거대자기환상, 착취/자기중심성, 소심/자신감 부족, 인지공감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의 하위변인인 목표불안정, 착취/자기중심성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인지공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사회불안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의 성격적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담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s of covert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and empathy on social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in the 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ocial anxiety. The influ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ameters are based on the theories and advanced research findings, which is related with social anxiet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86 college (male and female) students. As the method of measurement, the covert narcissism scale (CNS),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an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ADS)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al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hat covert narcissism tenden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empath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nducted on covert narcissism, internalized shame and empathy revealed that that covert narcissism and empathy accounted for the variance seen in social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college student’s anxiety. The results can be utilized to help clients with social anxiety, and by learning the empathy development program, they are able to use cognitive empathy in their 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