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적으로 메이커 운동이 사회문화에 확산됨에 따라 메이커스페이스가 혁신적인 교육환경의 모델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는 메이커스페이스의 구성과 교육적 의미 탐색을 통해 메이커 교육을 유아교육에서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이커스페이스에서의 활동을 테크놀로지 활용 수준에 따라 분류한 것을 기반으로 전통적 창작 활동, 컴퓨팅 사고 활동, 디자인 사고 활동으로 범주화하였다. 또한 유아교육에서의 메이커 교육이 팅커링, 프로그래밍, 디자인 사고를 통해 실현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더불어 메이커교육을 위해 유아 발달 수준에 적합한 테크놀로지와 디지털 매체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메이커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문제해결 능력, 몰입, 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4 차 산업혁명을 대비한 미래역량 함량에 의미 있는 교육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As the maker movement spreads to society and culture around the world, makerspace is proposed as a model of innovat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maker education can be practic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composition of makerspace and exploration of educational meaning.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activities in makerspace according to the level of technology utilization, maker activity can be categorized as traditional craft, computational thinking activity, and deign thinking activity.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maker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 be realized as tinkering, programming, and design thinking process. Furthermore, it explores the possibility of using technology and digital media suitable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level for maker education. Results suggest that the maker education can be meaningful education for the future capacity content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an promote children’s creativity, problem solving ability, commitment and coop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