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버지의 부모역량이 유아의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여 아버지의 부모역량의 중요성을 규명함으로써 유아의 행복플로리시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등원하는 만 4, 5세 유아 185명과 아버지 185명을 대상으로 아버지 부모역량과 유아 행복플로리시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부모역량 하위 요인 중 자기 결정 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유아 행복플로리시 하위 요인 중 개인강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의 부모역량과 유아 행복플로리시와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아버지의 부모역량은 유아 행복플로리시와 정적관계가 있는것으로 나타났고, 아버지의 발달적 양육능력과 유아의 개인강점, 정서적 행복과의 관계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부모역량이 유아 행복플로리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유아 행복플로리시 중 개인강점에 대하여 아버지의 사회구성원의 역할과기여능력, 긍정적 양육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 정서적 행복에 대하여 긍정적 양육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긍정적 의사소통에 대하여 사회구성원의 역할과 기여 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의강점알기에 대하여 아버지의 사회구성원의 역할과 기여능력, 긍정적 양육능력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력은 아버지 부모역량 중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ternal competence on young children’s flourishing in an effort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paternal competence and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bolster the flourishing of preschool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5 fathers and 185 children; the children were at the western ages of four and five and attended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Busan. Instruments that covered paternal competence and preschooler flourishing were us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thers were best at self-determin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al competence, and the preschoolers were most excellent in personal strengths among the subfactors of flourishing. Secon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rnal competence of the fathers and the flourishing of the young children was analyzed, paternal competenc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flourishing of the preschoolers, and the developmental parenting skills of the father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young children’s personal strengths and emotional happiness. Third, how the paternal competence of the fathers affected the flourishing of the preschoolers was analyzed. As a result, personal strengths that were one of the subfactors of flourishing were under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roles and contribution skills of the fathers as members of society and positive parenting skills. Positive parenting skills also exercis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happiness of the preschoolers. The positive communication of the preschooler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roles and contribution skills of the fathers as members of society, and the former's knowing strengths was under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roles and contribution skills of the latter as members of society and positive parenting skills. Finally, resilienc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very vari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