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만 2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을 위한 실행 과정과 이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와 영아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사는 만 2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을위하여 계획-계획의 실천, 변화의 과정, 결과 관찰-과정 및 결과에 대한 반성-수정된 계획에의한 실천과 반복을 통해 1-3차로 진행하였다. 1차시는 어린이집 하루일과 숙지 활동, 2차시는 관계 맺기 활동, 3차시는 동작 활용 음악 활동이 중심이 되었다. 각 차시의 중심요소는선행 연구 결과와 영아의 특성에 기초하여 영아의 흥미와 발달 특성 따라 교수학습매체를선정하였으며, 영아들의 관찰 결과와 교사들의 토의 기반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 위한 실행 과정에서 교사는 상호작용을적극적으로 시도하고, 발달수준에 적합한 활동을 하려고 노력한다. 영아는 일과에 적응하게되며, 감정을 스스로 조절하고, 교사와 또래와 관계를 맺고 놀이를 하며 적응해나간다. 따라서 교사는 영아의 적응을 위하여 일관된 하루일과 운영을 해야 한다. 영아-교사, 영아-또래와의 관계형성을 돕기 위한 상황 맥락에 적합한 적극적인 태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영아들의 초기 적응은 다각적 요소의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또한,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영아의 발달 특성에 적합한 활동의 유형 및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action research to improve infant’s early adaptation in adaptation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action research process for early adaptation? Second, How do teachers and infants change through process action research for early adaptation?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teacher conducted action research at a daycare center in Seoul. The study period was March 2014, and the action research was performed for 3 cycles. Field observation, interview recording, reflective journals of teacher and researcher and activity results of infan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MAXQDA 11. This study used a modified model of Kim and Kwon (2015) that modified the research model of Kemmis & McTaggart (2005). Each action cycle was implemented through 5 stages: plan, action, observation, reflection and improvements. The first step was focused on activities based on developmental traits of infants. The second step was focused on relation-based activities. The third step was focused on music activity using one’s body.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teachers tried to interact with each other actively and to teach activitie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ctivities. Infants adjust to daily tasks, control their emotion, and enter into a relation. It is important that teachers have an active attitude for infants to enter into a relation and prepare developmentally appropriate activities. Also, teachers work on daily task and give infants to emotional supports for their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infant teacher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infant’s early adaptation programs for establishing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ctivities for early adaptation of inf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