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동태요인모형(Dynamic Factor Model)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역 어음부도율을 공통요인과 지역특이요인으로 분해하여 부도율의 지역 간 동조성을 분석하였다.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들에서, 어음부도율 변동성에서 공통요인이 차지하는 기여율이 50~60%, 수도권 지역에서는 65%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공통요인이 중요하지만 지역특이 요인을 완전히 압도할 만큼은 아니라고 불 수 있다. 표본을 세 개의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최근 기간으로 올수록 공통요인의 기여율이 약화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화정책이 전국부도율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반면, 공통요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간 동조성이 강화되는 경제위기 기간에는 확장적 통화정책이 지역부도율을 낮추는 효율적인 정책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들은 총량 또는 평균 개념의 지표를 이용한 거시정책 평가는, 적어도 지역경제의 입장에서는 그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Using data on default rate of commercial papers, this study investigates comovement of regional economies in Korea. For that, we estimate a dynamic factor model and identify common factor and regional specific factor in the default rate. We find that contribution of common factor to volatility of the default rate is about 50~60% in most regions. Thus, common factor is important, but it is not that much as dominating regional specific factor overwhelmingly. We estimate the models for three subsample periods and find that the contribution rate of common factor increases in recent periods. Finally, we find that monetary policy affects significantly common factor, but not aggregate default rate. Moreover, monetary expansions in times of economic crises can be a effective policy response. The results imply that policy evaluation based on aggregate default rate may be misleading from the perspective of regional econom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