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자생적 문화예술공간이 문화예술 교류에 미치는 영향을 20세기의 다방과 21세기의 광주 바림의 역할을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방과 바림은 1인 예술가에 의하여 운영되는 자생적 문화예술공간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본 논문은 재수정된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표를 작성하여 다방과 광주 바림의 역할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재수정된 문화 다이아몬드 모델의 생산자-매개 지점에서는 문화예술공간이 작업 공간·교류의 장으로 역할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소비자-매개 지점에서는 공연전시·교육을, 그리고 예술 작품-매개 지점에서는 예술 작품과 해당 공간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사회-매개 지점에서는 사회와 해당 공간과의 연계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방은 전문 문화예술공간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문화예술인들의 작업 공간이자 교류의 공간으로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다방은 예술 작품과 매개 공간과의 연관성, 사회와 매개 공간과의 연계성의 측면은 다소 미약했으며, 공연·전시 측면과 교육 측면에서도 바림과 비교하여 그 역할이 미미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바림은 작업 공간·교류의 공간, 예술 작품과 매개 공간과의 연관성, 사회와 해당 공간과의 연계성, 공연·전시와 교육의 역할을 모두 담당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작업 공간·교류의 공간으로써 가장 활발하게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바림이 공연·전시 공간이기보다는 레지던시 공간으로써 역할하고 있다는 점을 드러낸다. 문화예술공간의 특성에 따른 역할을 재수정된 문화의 다이아몬드 도식으로 나타냈을 때, 바림은 1900년대의 다방의 역할이 전반적으로 증폭된 형태의 문화예술공간이다. 이 연구를 통해 다방은 20세기 중반 무렵까지 그 당시의 문화예술인들의 아지트이자 창작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다는 것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재수정된 문화 다이아몬드 관점에서보았을 때, 다방은 생산자 측면에서 할발한 형태의 문화예술공간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바림 역시 그와 유사하였다. 바림은 작가들에게 자율성을 주고 작품의 결과 보다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대안 공간으로써, 레지던시에 집중하고 있는 바림의 운영 시스템은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사라져가는 최근의 대안 공간들에게 좋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comparative study deals with the role of DA-BANG(Tea Room) and BARIM as art space. DA-BANG and BARIM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are autonomous art spaces run by artist. Comparative analysis is based on the re-modified model of cultural diamond, notably the the role of DA-BANG in the 20th century and BARIM in the 21st century. In the producer-mediation 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we closely examine if the above point works as production cum communication area. In the consumer-mediation point, we examine if the space works as space for performance and education. Lastly, but not least, we deal with the role of space as linkage between society and space. Although DA-BANG was not a specialized space in arts and culture, it functioned as a space for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for the artists at that time. In an era when association between art and intermediate space was limited and connectivity between social world and intermediate space was weak. The role of DA-BANG as space for performance/exhibition and education side was limited in comparison with BARIM. BARIM carried out the roles of mediators that link artists, art space, and society, especially it functioned as a space for creativity and interactivity to the artists. BARIM is a residency space rather than performance/exhibition space.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BARIM is an augmented/extended form of arts and culture space. It was revealed that DA-BANG was a space for creativity to the artists until the mid-1900s. From the viewpoint of the re-modified cultural diamond model, Da-Bang and Barim was active as producer-mediation space. BARIM is an alternative space that gives artists the autonomy to create arts and consider the process as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 Barim is more concerned with residency, and its operation system is a good example for alternative spaces that have recently disappeared without ident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