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청각장애인에게 보다 유용한 수화언어통역서비스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Q방법을 활용하여 청각장애인의 수화언어통역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인식 유형을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들과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39개의 진술문을 추출하고, 청각장애인 20명에 대한 Q분류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장애인이 많이 이용하는 기관에 수화통역사를 배치하는데 대한 공통 인식 분석과 함께, ‘수화언어통역의 전문화 추구형’, ‘전통적인 수화언어통역서비스 추구형’, ‘수화언어통역서비스 확대 및 개선 추구형’ 등 차별화된 3가지 인식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에 근거하여 주요 공공시설에 수화통역사 상주화 방안, 수화통역사 자격제도 및 교육훈련과정의 개선 방안, 영역별 전문화와 수화언어통역서비스 형태의 개선 방안, 고령층에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 수화언어통역 이용자의 욕구를 반영한 수화통역사 배치 등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dentities various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 of hearing-impaired persons o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using Q-methodology in an attempt to explore ways for developing more useful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for them. For this purpose, 35 statements are extracted based on literatures and in-depth interviews and Q-classification is conducted for 20 interviewees. The results identify a common perception on the provis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to frequently used institutions of hearing-impaired persons. They also derive three distinguished types of perception: seeking specializa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eking tradi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and seeking expansion and improve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residenc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in public facilities, improvements of qualification system and education and training courses, specialization by field and improvement of the practice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provision of customized services to the elderly and us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reflecting the needs of the u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