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정책의 유효성에 대해 진단하고 일-가정 양립정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조직문화의 역할가능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정책이 형식적인 집행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문화가 밑받침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⑴ 일-가정 양립정책의 시행이 조직구성원의 일-가정 전이(spillover theory)에 미치는 영향과 ⑵이때, 조절변수로서 조직문화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관리자를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가정양립정책의 시행은 그 자체로 부정적 일-가정 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문화와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경우 개별 정책이 부정적 일-가정 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 일-가정 전이의 경우 조직문화만이 일‧가정의 긍정적 전이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가정 양립정책의 효과성 문제에 대한 하나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향후 효과적인 일-가정 양립정책 실시를 위해 한국사회의 조직 가치관 및 문화에 대한 재검토 필요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work-life balance promoting policies; child-care support and alternative work schedules for helping employees to achieve better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 availability of work-life balance promoting policies address the work-life balance needs. We hypothesiz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zed as ‘non-family friend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ailability of work-life balance promoting policies and work-life spillover perceptions. Using the survey data from 2014 Korean Women Manager Panel, we found that while work-life balance promoting policies alon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impac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perceptions, organizational cultur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availability and negative spillover perception after controlling for some demographic and work attributes. Additionally, organizational culture itself appears to have a significant and direct impact on both positive and negative spillover perceptions. This study highlighted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facilitating employee’s work-life integration.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