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Videopoetry is one of the most vital and innovative of 21st Century artistic movements: new festivals geared specifically to showing movies from this genre keep being established, while already-existent festivals grow in stature. Yet at the same time, there is a certain degree of unease in poetry communities about the phenomenon. Is it poetry in the “true” sense – that is, does it focus on language? Or is it primarily the manifestation of the “seduction of the visual”?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practice-based experience in both camps, and will give an overview of videopoetry as an experimental cultural movement, allowing readers to glean a concise overview of the history of the movement and its present state, then offer some theoretical questions for discussion, so that readers can consider the questions of what poetry “is”, and whether its literary/belletristic qualities can be defined as purely linguistic, or as something more based in other traditions that well pre-exist the invention of digital technologies (for example, song, oral epic, and illustrated/illuminated texts).


비디오시(videopoetry)는가장 중요하고 혁신적인 21세기 예술 운동 중 하나이다. 이 장르에서 양산된 영화들을 선보이기 위해 기획된 새로운 페스티벌들이 생겨나고, 기존의 페스티벌들은 나날이 수준과 규모가 성장해가고 있다.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현상에 대해 시문학계의 불안감이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비디오시는 '진정한' 의미에서 시라 할 수 있는가? 비디오시는 언어에 초점을 맞추는가? 아니면, 비디오시는 '시각의 유혹'을 증명하고 있는 것인가? 양쪽 분야에서 실제 활동한 경험자이기도 한 필자는 실험적인 문화 운동으로서 비디오시에 대한 개요를 제공함으로써 이 운동의 역사화 현황에 대한 간략한 개요를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필자는 시란 무엇인지, 또한 시의 문학적 속성을 '순수하게' 언어학적인 것으로 정의해도 좋은 것인지, 아니면 디지털 기술이 발명되기 전에 이미 존재했던 다른 전통들(일례로, 노래, 구전 서사시, 그리고 그림/채식 텍스트 등)에 보다 더 기반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인지 등의 질문을 던짐으로써 보더 깊은 논의를 견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