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인천일기』의 기록을 통해서, 1950-60년대 노동자의 도시 경험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글에서 밝히고자 하는 주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도시 노동자들이 지닌 개인으로서의 근대적 목표와 그들이 도시 생활 속에서 강하게 지속하고 있는 가족적, 공동체적 유대관계 사이의 모순적 결합이다. 다른 하나는 당시 한국사회가 강하게 지향했던 사회적 공간적 통합 경향과 분화 경향 사이의 중층적 결합의 양상이다. 첫 번째 주제와 관련하여, 1950-60년대 도시 노동자들이 유지하고자 했던 공동체적 유대는 자신들의 도시 생활에서의 불리함과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한 생존전략이었다. 즉 이것은 농촌 출신 임금노동자들이 도시의 근대적 규율, 계급적 배제, 빈곤 등에 대응하는데 필요한 생활 기반이었다. 둘째로, 이 시기에 노-사간 분리, 노동자 내부 분화 등 사회적 분화와 함께 도시 공간의 분화가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화 경향은 각 집단별 통합의 경향을 한층 강화시키는, 이른바 균일화-중층화의 모순적 경향을 드러내면서 진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urban experience of the workers in the 1950s and 1960s through the records of 'the Incheon diary'. This article focuses on two major topics. One is the contradictory connection between the goals of urban workers as modern individuals and familal, communal solidarities that persist in their urban life. The other is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patial uniformizing tendency which Korean society was strongly oriented and differentiation tendency that are emerging as the city grows. In relation to the first topic, the solidarities of rural community that the urban workers had to maintain during the 1950s and 1960s were survival strategies to cope with the disadvantages and difficulties in their urban life. In other words, it was a living basis for wage workers from rural areas to cope with modern urban discipline, class exclusion and poverty. Second, during this period, with the social differentiation of the city such as the segregation between labourer and capitalist, internal differentiation of the workers, the spatial differentiation was emerging. However, these differentiation tendencys proceeded with further strengthening the internal integration of each group. In other words, the urban has showed a contradictory tendency that the uniformization and the multistratification have proceeded simultane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