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e concepts of balancing and bandwagoning theoretically have been the known strategies that states often utilize when they are exposed to pressing external threats. Scholars debated about the absence of balancing by states in the post-Cold War era against the United States, such that concepts like soft balancing and underbalancing have been introduced as the alternatives. States’ balancing strategies become more complicated under fragmented, multi-polar system such as the Middle East. Due to power diffusion, the Middle East has many weakened states and various types of actors are trying to take advantage of it; Iran has gained the most geopolitically. The puzzle is why Turkey is not employing either a balancing or bandwagoning strategy towards Iran, even though Iran’s regional geopolitical gains are a threat. This paper argues that Turkey has adopted ‘compartmentalized hedging’ towards Iran during the outbreak of civil wars and conflicts that are internationalized. Compartmentalized hedging allows Turkey to transcend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boundaries of ally or foe by straddling the grey area by simultaneously combining negative balancing and economic engagement as a hybrid policy towards the regional threat.


신현실주의 동맹이론은 한 국가가 외부의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택할 수 있는 정책을 ‘균형(balancing)정책’과 ‘편승(bandwagon)정책,’ 두 개념으로 정리했다. 냉전 체제의 종식 이후 신현실주의 동맹이론은 유일 강대국 미국에 대한 균형정책의 부재를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겪었고, ‘연성균형(soft balancing)’이나 ‘과소균형(underbalancing)’과 같은 새로운 개념이 도입되어 국가가 취할수 있는 다양한 균형정책을 분석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었다. 본 연구는 작금의 중동지역과 같이 역내다수의 국가들이 약화되고 내전의 국제화로 인해 권력이 다양한 행위자에게 분산되었을 경우 발생하는 균형정책은 일극체제나 양극체제 하에서의 균형정책과 다르다고 주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본 연구는 터키가 이란의 부상을 위협으로 간주하면서도 균형정책이나 편승정책을 취하지 않고 ‘컴파트먼트화(化)된 헤지정책(compartmentalized hedging)’을 취했다고 강조한다. 터키는 이란에게컴파트먼트화된 헤지정책을 사용함으로써 적과 동맹의 개념을 초월한 회색지대에서 ‘부정적 균형정책(negative balancing)’과 ‘경제적 관여’를 동시에 구사해 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