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article explores the logic of path emergence as a challenge to the logic of path dependence. The logic of path dependence has been widely applied to social and political phenomena to explain self-reinforcing institutional dynamics. However, it is not theoretically competent in accounting for social emergence that arises in the linkage between micro-level of human action and macro-level of social structure. In order to remedy this theoretical deficiency, the logic of path emergence incorporates morphogenetic fields, social resonance, self-organized criticality and co-evolution as key components underlying institutional dynamics. On the basis of this new perspective, this article examines the Helsinki process as an example of path emergence. The Helsinki process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end of the Cold War in 1989 as a result of institutional development and transnational network building.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unanticipated “Helsinki effect” can be better grasped by the logic of path emergence than by the logic of path dependence.


이 논문은 경로의존성 개념이 가지고 있는 이론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대안개념으로 ‘경로창발성’ 개념을 제시한다. 경로의존성은 제도의 지속성을 설명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회 및 정치적 현상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 개념은 개인적 수준의 인간행위와 전체적 수준의 사회구조가 상호간 긴밀히 연계되는 복잡한 과정에서 일어나는 창발적 현상을 설명하지 못하는 이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형태발생의 장’, ‘사회적 공명’, ‘자기조직 임계성’, ‘공진화’로 구성되는 경로창발성 이론을 대안이론으로 제시한다. 이러한 이론적 분석틀의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한 경험적 사례로 1989년 동구권 붕괴에 기여한 것으로평가되는 헬싱키 프로세스의 제도적 변화와 의도되지 않은 창발적 효과를 분석한다. 이 논문은 결론적으로 ‘헬싱키 효과’는 경로의존성 보다는 경로창발성에 의해 더 잘 설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