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간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을 포함한 4개 지자체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37부의 설문지 중, 250 부(응답이 불성실한 87부 제외)만이 빈도분석, 기술통계, Pearson 단순적률상관분석, Baron과Kenny(1986)의 3단계 매개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에 활용되었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행복감, 교사 효능감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행복감은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및 그 하위영역사이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교사 효능감에 대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설명력 및 행복감의 매개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교사 효능감에 대한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설명력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집단에서 훨씬 더 컸으며, 행복감은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에서는 부분 매개효과를,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에서는 완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높은 교사의 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을 직접적으로 낮추거나, 행복감을 향상시켜 이를 중재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levels and the teacher efficacy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A data set drawn from 343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from 4 regions including Seoul, was collected and 250 valid cases were analyzed. Descriptive data analysis, the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and Sobel tests were conducted by the author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At first, interpersonal stress negatively predicted teacher efficacy whereas the happiness did positively. Second, the happi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interpersonal stress and teacher efficacy. Third, the impact of interpersonal str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appiness on teacher efficacy varied depending on interpersonal stress levels among the participants. In other words, the impact of interpersonal stress on teacher efficacy was much greater among the ECE teachers with higher interpersonal stress levels than their counterparts. Also, happines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group with high interpersonal stress and a full mediation effect in the one with low interpersonal str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ategies are needed to improve teacher efficacy of the chronic and/or heavy interpersonal stress group by a) directly reducing their interpersonal stress level, and b) enhancing happiness to mediate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