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안데르센의 그림 없는 그림책 의 초창기 번역 수용사에 대한 연구이다. 초기 안데르센 동화가 수용되는 시점의 동향을 검토하고, 1920년대부터 70년대까지 그림 없는 그림책 이 번역된 수용사의 측면을 살펴보았다. 안데르센 동화 중에서도 그림 없는 그림책 은 ‘서사산문시’로도 표현되는 시적인 문학에 속한다. 이러한 작품을 한국에 처음 번역·소개하려고 시도한 인물은방정환으로 파악되었다. 그는 저명한 외국문학가였던 김억(金億)에게 번역을 의뢰하였으나 성사되지 못했다. 그 뒤 전영택은 영대(1924.9~12)라는 잡지에 그림 없는 그림책 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번역하여 연재하기 시작했다. 연재가 끝나자 1925년 1월호 어린이에 소개되었다. 아동 잡지로서는 처음 실린 것이다. 그림 없는 그림책 의 완역은 해외문학파 서항석에 의해 완성되었다. 그는 신가정 3권 7호(1935.7)부터4권 7호(1936.7)까지 총 10회에 걸쳐 서른세밤 이야기 모두를 번역하였다. 5회 연재부터는 정현웅의 삽화까지 포함되었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 그림 없는 그림책 에 대한 번역과 연구 양 분야에서활발한 성과가 나타나게 된다. 김요섭과 ‘아동문학사상’의 역할은 빼놓을 수 없다. 살펴보면 우리나라에는 아직 덴마크 원본에 의한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한 듯하다. 여기에 대한 선행 번역 및 연구를 확인할 수 없었다. 원작으로부터 ‘첨가’ ‘변형’ ‘삭제’의 요소들이 그대로 한국에 수용되었을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앞으로 안데르센 동화의 한국 수용에 관한 체계적인 정리 조사 및 본격적인연구가 필요하다. 안데르센 동화에 함축된 섬세한 시정을 예술적 동화의 차원에서새롭게 살려내는 일은 남은 과제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the early perio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trend representing the early reception process from the 1920’s only to the 1970’s with limit.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among Andersen’s fairy tales is the short prose forms which serves as a narrative mode. It is understood that this creation was attempted to be translated and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by Bang, JungHwan. He asked Kim Eok who had been famous for the foreign literature to translate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n, which results to be failed. Then, Jun Yungtaek published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n version serially at first in YungDae (1924.9~12). Finally, the parts of its series were described in Eorini (1925, January). Eorini was the first children’s magazine as a project of this. The following full version translation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n was completed by Seo Hangsuk. He translated thirty-three Evenings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all, from ShinGaJun(vol.3.no.7) (1935.7) to ShinGaJung(vol.4.no.7. (1936.7) tenthly. The fifth series began to be included the illustrations drawn by Jung Hyunwooing. From the 1970’s, the variety of its translations and its researches on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had been a flourishing condition. The title of AdongmunhakSasang(vol.9) was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edited by Kim yoseop who has been called “Andersen of Korea”. He had made an attempt on the introduction of Andersen’s works to Korea, searching many fantasy fairy tales and its theory. However, the translation on the basis of the Danish original cannot be found to be accomplished until now. It is considered that the translation of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in Korea, mostly, has been on the basis of English version. The additions, transformations and eliminations of the Danish original,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could be formed through this translation in the exact way as various English versions in Korea.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Reception of Hans Christian Andersen’s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more methodically and more earnestly. The study about the feeling on the new delicate poetical implication of Hans Christian Andersen’s Picture Book Without Pictures still leaves as a following research in the realms of Arts of literature specially such as fairy ta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