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행복에 결정적으로 작용하는 진로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직업이해, 진로준비행동, 경력지향성, 역량강화교육이 취업지원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행복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취업지원서비스의 역할을 매개효과 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886명을 대상으로 선행연구와수행했던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변수를 선정하였으며,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자료의 검증을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 Sobel 검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한 결과 직업이해, 진로준비행동, 경력지향성, 역량강화교육은 취업의지에 영향관계 있는 것으로나타났고, 진로준비행동, 경력지향성, 역량강화교육은취업지원서비스에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 경력지향성, 역량강화교육과 추업의지의 관계에서 취업지원서비스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이 행복한 삶을 위한 진로교육은 교육적 주체들의 독자적 자율성 발휘와 학생들 스스로가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되며, 진로교육이 행복교육과 창의·인성교육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21세기 지식기반 사회에 행복한 삶을유지할 있는 진로교육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생의 행복한 삶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대학은 행복교육과 창의·인성교육을 중요하게 관심을가져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진로 및 취업지원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하며, 취업지원서비스의 역할을 주도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되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understanding, career - oriented behavior, career orientation, and capacity - building education on job commitment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career education. In addition, the role of employment support service to enhance the willingness of college students to work is analyzed through mediation effect analysis. In this study, 886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and the variables were selected by comprehensive study of previous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data were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test, and Sobel test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career understanding, career - preparedness, career - orientation, and capacity - building education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will to work. Als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orientation, and capacity building education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employment support services. Job support services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orientation, capacity building training and willingness to work. In order to provide such a successful employment support service and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mployment support organization and to allocate specialized personnel. In addition, career and employment support capabilities should be strengthened. Also, institutional improvement should be required to lead the role of employment support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