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적 정서를 반영한 침묵현상을 개념화하고 새로운 유형으로 도출하여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서구와 구분되는 한국행정문화의 특징들 중 순응주의는 기존의 침묵 유형과는 다른 차원의 침묵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순응주의와 한국적 침묵의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검토 결과, 한국의 순응주의는 ‘상관의 권위 존중’, ‘상관의 체면 중시’, ‘상급자와 하급자 간의 정과 의리 중시’ 등의 풍토를 조성함으로써 구성원의 침묵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고, 이 연구는 이를 순응적 침묵으로 정의하였다. 순응적 침묵의 척도 개발을 위해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5문항을 개발하고, 기존 조직침묵의 3가지 유형의 문항(체념적・방어적・친조직적 침묵 각각 5개, 총 15개)을 포함한 20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4개 구성요인・19개 문항의 조직침묵 측정도구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모형의 수렴・판별 타당도는 기준치를 충족 하였고, 이해타당도 또한 상당히 지지된다는 점에서 척도의 타당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한국적 조직침묵의 개념화와 유형화에 기반한 순응적 침묵의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입증함으로써 측정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ceptualize a new type of silence phenomenon permeating the Kore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for it. Adaptive silence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ilence types in that adaptive silence comes from conformity, a characteristic of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distinguished from the West. In this article, we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ormity and the phenomenon of silence observed in Korean public organizations. Comprehensive theoretical review reveals that conformity causes a distinctive organizational climate in which “respect for the superiors’ authority,” “regard for superiors’ honor,” and “emphasis on bonds between superiors and subordinates” prevail; such an organizational climate is likely to cause adaptive silence. To develop a measurement scale for adaptive silence, we developed 5 questionnaire items through a content validity test. The content validity test was applied to total 20 questionnaire items, including 15 existing questionnaire items(concerning acquiescent, defensive, and prosocial silence), with the data from a survey of 19 police officers. For thi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survey. Consequently, 19 questionnaire items comprising 4 components were confirmed. The confirmed model was reaffirmed through additional valid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uggest a new concept of organizational silence—adaptive silence—reflecting the Korean organizational culture, and for which we develop a measurement scale. Second, by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scale, we provide useful measurement tools to researchers interested in the phenomenon of silence in Korean organiz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