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적 이익 추구를 강조한 기존의 행정 부패와 달리 조직의 이익을 위한 부정행위에 대해서는 그간 학술적 관심이 많이 주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공공조직의 목표 명료성의 유형이 소속 공무원의 친조직적 부정행위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조직 이익에 대한 또 다른 관점으로서 공무원이 주관적으로 판단한 조직에 대한 애착이라는 차원에서 조직몰입의 역할 역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사명이해 명료성이 증가할수록 친조직적 부정행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평가적 명료성은 친조직적 부정행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조직의 본질적 사명에 대한 공감과는 달리 평가라는 수단적 가치로서의 목표의 구체 화와 명료화는 오히려 구성원의 비윤리적 행위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정도는 목표 명료성과 친조직적 부정행위와의 관계에서 의미있는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organizational goal clarity on the pro-organizational misbehavior of public officials. Based on the existing theoretical debate, we divide organizational goal clarity intomission comprehension clarity and evaluative clarity. We document four results. First, as the comprehension of mission clarity increases, the pro-organizational rule-breaking intention decreases. This means that the official goals of the public organization need to be shared clearly. Second, evaluative clarity increased the pro-organizational rule-breaking intention. The specificity and clarity of the evaluation objective for public organizations can lead to unethical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that adversely affects the organization. Third, since goal clarity is a pluralistic concept, it is necessary in future studies to measure it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Finally, the degree of affec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clarity and pro-organizational mis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