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작으로 콘텐츠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하고 있는 때 시각디자인분야 중 축적되지 않고 대부분 폐기되고 있는 그래픽디자인 아카이브의 중요성과 체계화 및 통합적 활용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그래픽디자인의 생산주체들을 파악하고 그 주체들에서 생산되는 그래픽디자인들이 어떻게 소장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현재 문제점이 무엇이며 국내에서 제작 생산되는 그래픽디자인을 체계적 통합적으로 아카이브 하는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그 연구결과 및 내용은다음과 같다. 첫째, 그래픽디자인을 중요한 시각 콘텐츠로서 단일품목으로 전체를 정리 소장하고 있는 곳은 없으며 부분적으로 아카이브 하고 있을 뿐이다. 둘째, 서울대미술대학 조형연구소와 한국아트아카이브협회의 아카이브에 대한 연구 성과가 두드러진다. 셋째, 그래픽디자인이 유용한 콘텐츠로서 가치를 발휘하려면 아카이브의 개념에 맞게 그래픽디자인의 최종 결과물인 출판물과 포스터 외에 스케치, 시안, 제작물 원본, 관련부속 자료인 초청장, 리플렛, 광고 등 그래픽디자인전반에 걸쳐 아카이브가 되어야 한다. 넷째, 그래픽디자인의 아카이브는 소장과 활용면에서 도서관(Library)과 아카이브(Archives), 그리고 박물관(Museum)의 융·복합되고 통합됨 개념인 라키비움(Lachiveum) 형태로 수집되고 활용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를 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섯째, 국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그래픽디자인의 아카이빙을 위해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주관하고 있는 문화유산표준관리시스템에 통합되어 정리되어야 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활용 후 대부분 사라지는중요한 시각 콘텐츠인 그래픽디자인이 빠짐없이 소장되어지고 적극 활용되길 기대하며 앞으로 건립될 국립디자인박물관의 그래픽디자인 콘텐츠 아카이브 방향 및 활용 측면에도 적극 기여하길 기대한다.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has gotten started, the contents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Nevertheless, most of the graphic designs are not accumulated but discarded, and thus,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struct a graphic design archive and systemize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verse graphic designers and thereupon, confirm how their graphic design works are collected, and thereby, address the pending problems and thus, explore a way to archive the graphic designs in a systematic and integrated 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few institutions collect the graphic designs systematically as important visual contents; the graphic designs are archived only partially. Secondly, it has been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Visual Arts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Art and Korea Archive Association are active in the research into the graphic design archives. Thirdly, in order to enhance the values of the graphic designs as useful contents, it is necessary to archive not only the final results of the graphic designs or publications and posters but also such ones as sketches, drafts, originals, relevant materials such as invitation letters, leaflets and advertisements. Fourthly, it is deemed effective and desirable to collect the graphic designs in the forms of 'Lachiveum': this is a concept of integrating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Fifth, in order to archive all the graphic designs produced in Korea, it is essential to integrate them into the Cultural Heritage Standard Management System operat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Lastly, it is hoped that most of the graphic designs or the important visual contents being discarded mostly would be all collected, and that this study would be conducive to construction and uses of the graphic design contents archive of the National Design Museum of Korea which will be found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