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제품이나 서비스가 단순 도구 개념에서 상품의 개념이 되는 데에는 기대, 소비, 사용, 만족과 같은 비용중심적 개념이 작용하였다. 현재 제품 환경에서 비용을 빼고 가치를 논하기 어렵게 된 것이다. 이에 비용은 제품 가치로 볼 때 상품으로써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 밖의 가치에 대한논의는 별도의 대상으로써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디자인 가치 역시 이 영역 내의 한 부분이다. 디자인이 제품 가치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진행되었다. 제품 가치의 시장 경제적 측면에서가치는 사용자의 소비 비용과 구매하는 제품에 대한복합적인 기대치를 기반으로 적정 가치 수준을 결정되는 것에 기반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소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의 기대 가치와 실제 가치를 역추적하여 전술한 가치정의의 타당성 여부를 알아보고 이를 기반으로 소비자가 시장에서 실제 구매 가능성이 높은 비용 수준을예측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Post-oriented concepts such as expectations, consumption, use, and satisfaction played a role in the concept of product or service as a concept of commodity in the concept of simple tools. It is difficult to deduce the cost and value of the current product environment. As a result, most of the cost was perceived as the value of the product as a product value. Discussions about other values came to be perceived as separate subjects. Design value is also a part of this area.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design as important in product value. The value of the product value in terms of market economy is based o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value level based on the user's consumption cost and the expectation of the purchased product. Therefore, this study retrospects the expected value and the actual value of the design so that the user can actually lead to the consumption, and then the validity of the above-mentioned value definition is ascertained. Based on thi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predic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