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정향을 암묵적과 명시적으로 구분하여 배경 변인별로 차이를 분석하고,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309명의 자료를 t 또는 F 검증하였고,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정향에 대한 암묵적 인식은 배경 변인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실천적 지식 정향에 대한 명시적 인식 개인적 정향과 경험적 정향에 대해서만 교직경력에 한정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정향에 대한 암묵적과 명시적 인식이 교육과정보다는 교수학습 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실천적 지식의 경험적 정향은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요인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좋은 수업은 교직경력의 영향을 지배적으로 받으며 발달하고 있음을 이 연구에서는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licit and explicit recognition of practical knowledge orientatio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al knowledge orientation and the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factors. Data of 309 hearing impaired schools teachers nationwide were verified by t or F, and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licit perceptions of the teachers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b)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licit perception of practical knowledge orientation and the personal orientation and experiential orientation only within the teaching career; and ©(c) implicit and explicit perceptions of teachers' perceptions of practical learning affect the teaching- learning factors rather than the curriculum. Especially, experiential orientation of practical knowledge influenced curriculum and teaching-learning factors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good classes of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are dominantly influenced by teaching career experience.